이경훈 지음, 푸른숲 펴냄

어떤 건축이 좋은 건축일까? 우리는 살면서 늘 어떤 건물에 대해 말한다.

차창 밖의 빌딩이나 동네의 신축 건물, 언론에 오르내리는 유명한 건물들에 대해 한마디씩 평한다.

 
가령 광화문 광장, 서울 시청이 생겼을 때도 그랬고 최근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를 둘러싼 논란도 그렇다. 그런데 우리는 무슨 기준으로 건축을 평하는 것일까?

단지 외향이 멋있거나 노출 콘크리트와 하이테크 기법으로 만들면 좋은 건축일까? 많은 사람들과 전문가들이 훌륭하다고 하면 그들의 식견에 따라 엄지손가락을 치켜드는 편이 맞는 것일까? 과연 우리는 어떤 상식으로 건축을 판단하고 있는 것일까?

『못된 건축』은 서울시 도시계획 의원회의 일원으로 도시를 연구하는 건축가 이경훈 교수가 2011년 '서울은 도시가 아니다'를 펴낸 이후 두번 째로 낸 책이다.

이 교수는 『못된 건축』에서 도시의 건축을 바라보는 기준을 제시하고 그 독해법을 알려준다.

건축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건축가가 들려주는 가이드북인 셈이다.

건축과 도시, 그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따스하고 친절한 시선을 유지하면서도 애매모호하게 에두르지 않는다.

서울 시민의 행복을 가로막는 서울의 대표 건축을 콕 집어 설명하고, 서울을 살리는 건물로 DDP와 동십자각 앞의 트윈트리타워를 내세운다.

건축에 조금 관심 있는 사람들은 의아할 수밖에 없다. 이 두 건물은 랜드마크와 흉물 사이에서 논란을 일으킨 대표적인 건물이기 때문이다.

사실 DDP는 서울을 넘어 우리나라 건축 사상 최대의 논란거리였다.
 
공공건물에 들어간 엄청난 비용, 동대문운동장의 역사성 훼손, 외계 우주선 같은 비정형으로 이뤄진 외관의 이질감, 공간 활용도 등 많은 논란을 낳았다.

완공되기 전까지 비난 일색이다가 완공되자 찬사가 이어지다 다시 의문과 기대로 나뉘는 등 전문가나 언론의 반응도 제각각 갈지자 행보다.

파격적인 새로움 앞에 그 누구도 수긍할만한 의견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 처럼 DDP를 둘러싼 여러 가지 논란을 가만히 지켜보던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처음으로 DDP가 왜 서울에 꼭 필요한 ‘착한 건축’인지 조목조목 밝힌다.

이 밖에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우리가 그동안 생각지 못했던 건축이 도시의 삶을 망치는 사례들을 일일이 열거한다.

한 가지 재밌는 것은 조곤조곤한 저자의 태도다.

못된 건축을 말하면서 헐뜯지 않는다.

오히려 건축에 깃든 이야기를 흥미롭게 전해주고 잘못 꿰어진 첫 단추를 진심으로 아쉬워하는 건축가의 시선이 느껴진다.
 
아쉬움이 많았기 때문일까. 본문 속 팁을 통해 건축가를 대하는 법도 별도로 작성해놓았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