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은 7조9,720억원으로 2012년(7조1,227억원)에 비해 11.9% 증가했으며, 수출은 12억 8,341만달러로 같은 기간 20.3%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가 28일 밝힌 '2013년 화장품 생산 및 수·출입 현황 자료'에 따르면  생산실적의 경우 최근 5년간 평균 성장률이 11.4%로 증가했고 수출은 2년 연속 20%이상 증가했다.

특히, 20%가 넘는 수출 증가와 소폭 감소한 수입이 맞물려 지난해 국내 화장품 무역수지는 처음으로 흑자를 기록한 2012년(8,926만달러)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3억1,145만달러 흑자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화장품 시장규모도 7조6,309억원으로 조사돼 2012년(7조221억원)에 비해 8.7% 상승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 2013년 화장품 유형별 생산실적.
참고로 연도별 화장품 생산 실적을 보면 지난 2009년 5조1,686억원에서 2010년 6조146억원, 2011년 6조3,856억원으로 늘었으며, 2012년 처음으로 7조원대를 돌파(7조1,227억원)한 이후 2013년 7조9,720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따른 시장규모(생산+수입-수출)는 2009년 5조5,324억원에서 2010년 6조3,084억원, 2011년 6조5,898억원으로 커졌으며, 2012년 7조221억원, 2013년 7조6,309억원을 기록했다.

식약처가 밝힌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의 주요 특징은 크게 △수출 성장세로 무역흑자 지속 △중국, 홍콩에 수출 큰 폭 증가 △기능성 화장품 생산 비중 증가 등이다.

◇ 수출 성장세로 무역흑자 지속
2013년 화장품 수출실적은 12억8,341만달러였으며, 수입은 9억7,196만달러로 무역수지는 3억1,145만달러 흑자로 조사됐다.

수출 증가율은 2012년에 이어 2년 연속 20% 이상 성장률을 보인데 반해, 수입은 0.6% 감소해 ‘12년(9억7,774만달러)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화장품 무역수지가 2012년에 이후 연속 흑자로 나타난 것은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에 대한 수출이 늘었기 때문이다.

▲ 화장품 수출․수입실적.
◇ 중국, 홍콩 수출 큰 폭 증가
지난해 국산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출한 나라는 중국(2억8,581만달러)이었으며, 그 뒤로 홍콩(2억6,672만달러), 일본(2억1,785만달러), 미국(9,217만달러), 대만(8,415만달러), 태국(7,264만달러) 등의 순이었다.

특히, 중국의 경우 2012년(2억961만달러)에 비해 36.4%나 증가해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여 순위도 2위(2012년)에서 1위(2013년)로 올랐고, 홍콩도 3위에서 2위로 올라 이 두 나라에 대한 수출실적 점유율이 43.1%나 됐다.

반면, 일본은 지난해 3위로 조사되어 1위 자리를 내주었으며 2013년 수출 상위 10개국에 대한 수출실적이 11억5,392만달러로 전체 수출실적(12억8,341만달러)의 89.9%나 됐다.

지속적인 화장품 수출 증가는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발전과 함께 품질향상, 한류 열풍의 영향으로 중국, 홍콩, 대만, 태국 등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기능성 화장품 생산 비중 증가
지난해 기능성화장품의 생산실적은 2조5,638억원으로 전체 생산실적의 32.2%로 조사돼 2011년 1조6,418억원(25.7%), 2012년 2조1,483억원(30.2%)에 이어 생산실적과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기능성화장품 중에서는 2개 기능 이상을 갖는 복합기능성 화장품의 생산실적이 1조2,259억원(기능성화장품 중 47.8%)으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주름개선(6,903억원), 자외선차단(3,809억원), 미백 기능(2,667억원)의 순이었다.

각각의 기능성 제품을 사용하는 대신에 복합된 기능을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바쁜 현대인에게 더 각광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 화장용 제품이 4조5,180억원(56.7%)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으며, 두발용 제품류(1조2,227억원(15.3%)), 색조화장용(1조1,202억원(14.1%)), 인체세정용(6,070억원(7.6%)) 등이 그 뒤를 따랐다.

기초 화장용 제품 중에서는 로션·크림제의 생산실적이 1조7,038억원(37.7%), 에센스·오일이 9,545억원(21.1%), 수렴·유연·영양 화장수가 7,143억원(15.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
◇ 생산실적 1위는 ‘아모레퍼시픽’…제품은 ‘설화수 자음생 크림’
2013년에 화장품을 생산실적이 있는 제조판매업자는 총 1,895개소였으며, 이들 중 생산액이 1,000억 이상인 8개 사의 생산실적은 5조9,040억원으로 전체의 74.1%를 점유하고 있었다.

이 중 ‘아모레퍼시픽’이 3조73억원을 생산해 37.7%를 차지했으며 그 뒤를 이어 ‘엘지생활건강’이 1조8,114억원(22.7%), ‘에이블씨엔씨’가 4,290억원(5.4%), ‘애터미’ 1,565억원(1.96%), ‘더페이스샵’ 1,546억원(1.94%) 등이 뒤따랐다..

생산실적이 가장 많은 제품은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 자음생크림(60ml)’(708억원)이었으며, 그 다음은 ’설화수 자음유액(125ml)‘( 568억원), ’설화수 자음수(125ml)‘(561억원), ’미샤초보양수액(30ml)‘(423억원), ’리엔 자윤비책 중건성 샴푸‘(400ml)(423억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수입품의 69.7%는 미국, 프랑스, 일본산
지난해 화장품 수입실적은 9억7,196만달러였으며, 수입 상위 10개국으로부터 9억485만달러가 수입되어 전체의 93.1%를 차지해 2012년(9억64만달러(92.7%))에 비해 0.17% 감소했다.

상위 10개국의 순서는 미국(2억8,543만달러), 프랑스(2억5,772만달러), 일본(1억3,453만달러), 이태리, 영국 등이었으며, 상위 3개국의 수입실적이 전체의 69.7%를 차지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국내 화장품 수출을 포함한 생산실적이 급증하는 것은 국산 화장품의 안전성과 품질의 우수성을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향후에도, 화장품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제도의 국제 조화 및 합리화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국산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중국, 홍콩, 동남아 시장 뿐 아니라 유럽, 호주 등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글로벌 시장에 부합하는 우수한 브랜드와 다양한 품목 개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