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커샹 지음, 책공장더불어 펴냄

자연 생태 문학가인 저자는 우연한 기회에 12마리 유기견을 관찰하기 시작한다.

이 관찰은 2년여 동안 지속되는데 인간에 의해 버려진 도시의 유기견들이 어떤 삶을 살고 어떻게 죽어가는 지를 지켜본다.

 
저자는 과도한 감정 표현 없이 담담하게 유기견 12마리의 삶을 묘사함으로서 인간 중심의 도시 문화 속에서 쉽게 버려지고 아무렇지 않게 폭력의 대상이 되는 버려진 개들의 비참한 삶을 생생하게 그려낸다.

이 책은 20년 전 대만의 이야기이지만 현재 한국의 길 위에 사는 동물들의 모습과 똑같다.

유기견과 길고양이, 산 속의 들개…

주린 배를 채우지 못하고, 질병에 걸려, 차에 치여 죽고, 포획돼 시설에서 안락사로 죽어가는 동물들에게 도시는 가혹하다.

도시는 버려진 개들에게 살 권리를 허락하지 않는다. 버려진 개들에게는 시민권도 생존권도 없다.

특히 길 위의 동물에 대해 장기간의 관찰을 통해 축적된 자료 없이 포획해서 죽이기에 급급한 한국의 동물 관련 정책에 일침을 가하는 책이기도 하다.

들개 관련 부처와 언론은 행인을 위협한다며 들개를 폭력배처럼 무섭게 묘사하지만, 이는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지 않으려는 처사이다. 들개는 심각하게 사람들의 안전을 위협하지 않는다. 그럴 힘도 능력도 없다.

실제로 버려진 개들은 어딜 가나 오해를 받고 위협을 당한다. 그러다가 때로는 위험을 피하지만 대개는 난관을 극복하지 못하고 삶에 실패한다.

이 책은 책상에 앉아 관련 정책을 생산하는 자들에게 살아있는 자료를 전달한다. 사람들은 버려진 개들을 불결하고, 무리지어 다녀서 위험한 존재로 치부한다.

하지만 그들은 허기를 채우지 못해 멍한 눈으로 살기 위해 애쓰고 있을 뿐이다. 또한 그들에게 무리는 동료에게 돌봄을 받고, 협력도 하면서 하루하루를 버티는 삶의 한 방편이다. 그들은 우리가 보호해야할 대상일 뿐이다.

버려진 개들은 야생에서 오지 않았다. 도시에서 버림받아 막다른 길에 이르렀을 뿐. 사람들은 끊임없이 개를 잡아가서 죽이지만 개들은 계속해서 버려지고, 끊임없이 새로 태어난다.

도시의 자연은 이렇게 황당무계한 방식으로 균형을 이뤄나간다.

이렇게 우리는 버려진 개들을 최후의 증인으로 남길 것인가.

생존권 없이 도시를 표류하는 삶을 참혹하게 경험한 증인으로…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