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까지 피해신고 총 5531건, 최소 피해추정의 10% 불과…“특단대책 절실”

올 들어 3월말까지 가습기살균제 피해신고 건수는 총 5,531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피해신고는 계속 이어지고 있지만, 언론보도 횟수가 줄어드는 데 비례해 피해신고 역시 급속하게 감소세를 보여 이러다간 영구미제로 남을 지 모른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 등에 따르면 정부의 피해신고 공식접수처인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 접수된 2017년 3월31일까지 피해신고는 모두 5,531건이다. 이중 사망자는 21.1%인 1,168 명이다. 피해신고자 10 명중 2 명은 사망자인 셈.

이 중 2017 년 들어 신고된 피해자는 190명으로 이중 사망자는 20.5%인 39 명이다.

월별 피해신고 접수 현황을 보면, 1월에 69명(사망자 12명), 2월에는 63명(사망자 13명), 3월에 58명(사망자 14명)이 신고됐다.

피해신고는 끊이지 않고 이어지고 있지만 최근 사회적인 이슈가 국정농단에 이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벚꽃대선' 등으로 이어짐에 따라 언론보도 횟수가 줄어듦에 따라 피해 신고 역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로 가습기살균제에 대한 언론의 보도흐름을 보면 2016 년 5월에 가장 많은 보도횟수를 보인 이후 꾸준히 감소추세에 있다.

▲ 가습기살균제에 대한 언론보도와 피해신고의 월별 흐름 비교.
인터넷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에서 ‘가습기살균제’를 키워드로 뉴스검색을 해보면 2016 년 5월에 각각 17,539건과 18,000건으로 가장 많았다가 이후 크게 줄어들었다.

이에 따른 피해신고 역시 2016 년 6월 1,362 건으로 가장 많았다가 7 월에 401건으로 크게 줄었고 이후 꾸준히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환경보건시민센터는 "가습기살균제는 3천~4천원하는 계절용 일회용품으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오래전 사용여부를 잘 기억하지 못하는데다 질환발생 및 사망과의 관련성 자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며 "때문에 2016년 4~6 월에 이 문제가 큰 사회문제화되고 언론에서 폭발적으로 보도 했을때 피해신고가 늘어났던 이유"라고 지적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그러면서 " 1994년부터 2011년까지 가습기살균제 제품은 최소 24개 제품이 719만개 판매된것으로 파악되며, 사용자는 1천만명 이상인 것으로 추산되고 이 중 고농도 사용자 및 건강피해경험자는 30 만명에서 200 만명으로 추산된다"며 "최근 정부의 연구조사에서 조차 피해자가 최소 5 만명으로 추산됐는데, 올해 3월말까지 신고된 피해자 5,531 명은 피해자 최소치 추산인 5만명의 10%에 불과한 수치"라며 이대로 방치하면 사실상 가습기살균제 사건은 영구미제가 될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전국의 병원과 요양원, 학교 등 가습기살균제를 집중적으로 사용한 피해자가 있는 곳을 찾아 피해자를 발굴해 내야 하지만 피해자가 신고해오는 피해신고 전화만 접수할 뿐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통령선거와 관련해 각당의 대선 후보들은 중단돼 버린 검찰수사가 계속되도록 하기 위해 '가습기살균제 특별수사본부'를 검찰에 설치하겠다는 등의 특단의 조치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