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주의보 발령 증가, 환경기준 달성률은 0%…녹색당, 오존 심각성 경고

초미세먼지에 대한 경각심과 함께 오존 농도 역시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경고등이 켜졌다.

오존주의보 발령일수가 갈수록 증가하는 한편 오존에 대한 8시간 평균 환경기준 달성률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14일 녹색당에 따르면 2015년 한국의 오존주의보 발령일수는 33일, 발령 횟수는 134회이고, 2016년에는 서울, 경기, 인천만 해도 발령일수 59일, 발령횟수는 111회로 늘어났다.

초미세먼지도 문제이지만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는 오존 농도를 줄이려는 정부의 노력이 필요한 대목이라는 설명이다.

문제는 오존의 연평균 농도뿐만 아니라 실제로 우리 생활에 있어 더욱 중요한 8시간 평균, 1시간 평균 농도도 계속 높아지고 있다는 점.

대기환경기준 달성률을 보면 대기환경기준 상 오존은 8시간 평균치가 0.06ppm이하, 1시간 평균치는 0.1ppm 이하를 달성목표로 잡고 있다.

그런데 8시간 평균은 환경기준 달성률이 2014년 0%, 2015년 0.4%를 기록했고, 1시간 기준은 2014년 37.5%, 2015년 50.8%를 기록했다.

▲ 오존 유효측정소 및 환경기준 달성 현황 추이(2015 대기환경 정보).
초미세먼지(PM2.5)의 경우 환경기준 달성률이 2015년 기준 연평균 65%, 24시간 평균 달성률이 4%인 것과 비견되는 심각한 상황이다.

서울의 경우 1시간 환경기준(0.1ppm) 초과횟수가 2016년 663회로 2015년 123회나 2014년 476회에 비해 대폭 증가했고, 8시간 환경기준(0.06ppm) 초과횟수 또한 1,103회로 2015년 780회, 2014년 983회에 비해 증가했다.

올해 5월 1일 수도권 첫 오존주의보 발령은 2009년 이후 가장 빠른 것이며, 2016년과 비교하면 16일이나 이르다. 보통 5월이 지나고 (초)미세먼지가 잦아들면 오존이 극성을 부리곤 했지만, 이제는 초미세먼지와 황사가 채 사라지기도 전에 오존 또한 폭염과 함께 우리 사회를 덮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녹색당은 종합적인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종합적인 대책을 바탕으로 초미세먼지와 오존 각각에 대해 긴급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현재 지자체가 오존주의보와 관련해 시행하고 있는 대책은 △ 오존농도를 사전 통보해 질소산화물과 휘발성유기화합물 다량 배출업소(발전소, 소각장, 도장시설 등)에 ‘협조’ 요청 △ 오존주의보 발령 시 상황 전파 및 외출 자제토록 홍보 – TV, 라디오, 전광판, 문자메시지(SMS), 홈페이지 등 전파 △ 살수차량 통한 도로 살수, 자동차 배출가스 단속,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시설 단속 등이다.

이에 더해 녹색당은 △초미세먼지와 마찬가지로 오존주의보를 재난으로 규정, △시민건강 보호 조치 강화, △오존 민감군 주의보 별도로 마련, △오존 비상저감조치 시행, △오존 예보에 따른 차량 2부제, △대중교통 무료화, △공해차량 운행제한, △질소산화물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다량 배출업소에 대한 실효성 있는 긴급 조업시간/연료사용량 감축 조치 등을 실행하도록 법 및 조례를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녹색당 관계자는 “오존주의보 발령일수는 95년 1일에서 시작하여 2001년 까지 6, 12, 14, 16, 17, 15일로 증가 추세가 이어졌지만, 2002년 갑자기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했다. 2002년 정부에서는 월드컵 경기가 열리는 시기에 오존 농도를 줄이기 위해 경기일 전후로 차량 2부제를 시행하는 등 강력한 대책을 시행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당시에는 쓰레기 소각시설도 멈추고 발전소도 일부 멈추었다. 심지어는 민간사업자인 세탁소에서 드라이클리닝 세탁도 자제하게 했다. 이러한 강력한 대책이 효과를 발휘한 것이다. 오존 문제는 (초)미세먼지에 버금가는 문제일 뿐만 아니라, 점차 심각해져가고 있다. 녹색당은 오존 문제에 대한 관심과 정부의 앞선 대책을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