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공공하수처리수 재이용률은 13.6%로 전국 평균(14.7%)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하수처리수 재이용으로 안정적인 물 공급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4일 발표한 ‘하수처리수를 이용한 물 부족 해결’ 보고서를 통해 경기도 내 공공하수처리시설은 총 149개소(시설용량 500㎥/일 이상), 시설용량 6,135천㎥/일로 시설용량 기준 전국의 24.4%가 경기도에서 운영 중에 있으며, 연간 하수처리량도 총 1,694,199천㎥(전국의 24.2%)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풍부한 하수도 인프라에도 불구하고 경기도의 하수처리수 재이용률은 매년 소폭 상승하여 2015년 총 재이용량이 229,973천㎥/년 정도로 재이용률은 전국 평균(14.7%)보다 낮은 13.6%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장외용수 용도별 재이용 비율은 하천 유지용수 76.0%, 장외기타용수 13.7%, 공업용수 8.1%, 농업용수 2.1% 등으로 나타나 장외용수의 대부분이 하천유지용수로 공급되고 있어 하수처리수 재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용도를 확대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경기도 내 농업 종사자(논농사를 짓는 농민) 58명과 제조업 종사자(제조공장에 종사하는 관리직급) 51명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 현장 방문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하수처리수 재이용에 대해 알고있다고 응답한 농업 종사자는 31.0%였으며, 제조업 종사자는 78.4%였다.

농업 종사자의 51.7%와 제조업 종사자 64.7%가 하수처리수 ‘재이용 의사가 없다’고 응답했으며, 재이용을 원하지 않는 이유로 ‘막연한 불안감’ 때문이라는 응답이 농업 및 제조업에서 각각 90.0%, 87.9%로 나타났다.

농업종사자들은 하수처리수 재이용 시 우려사항으로 수질에 대한 불안감(72.4%)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냄새 등 심미적 거부감(22.4%), 추가비용 소요(5.2%) 순이었다.

제조업 종사자 또한 수질에 대한 거부감(60.8%)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냄새 등 심미적 거부감(21.6%), 추가비용 소요(15.7%)로 나타나 제조업의 경우 수질뿐만 아니라 재이용 시 시설투자 등에 따라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추가비용에 대한 부담이 공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연구원 조영무 연구위원은 “경기도의 경우 2025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생활⋅공업용수 부족이 예상된다”며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해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중심으로 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물 수요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제도 마련, 경제적 지원 강화 등을 통해 경기도의 물 복지를 실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 연구위원은 하수처리수 활성화를 위해 △장외용수 재이용수 용도의 다변화 △하수처리장 주변여건을 고려한 수요처 개발 △수요처 요구에 맞는 수질확보로 재용수의 신뢰도 제고 △인프라 구축은 공동처리시설 설치와 민투방식 추진으로 경제성⋅운영효율성 증대 △수요처의 비용절감 방안을 마련해 하수처리수 재이용사업 참여 유도 △하수처리수 재이용 홍보를 통한 수요처와 시민들의 부정적 인식 개선을 제시했다.

조 연구위원은 특히 “부족한 수자원 확보를 위해 강수량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전통적 취수 방식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용수 공급이 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대체수자원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