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슬러지’는 수돗물 생산 과정(침전 및 역세척공정)중 원수(강물)를 맑게 하기 위해 황산알루미늄(Alum)과 폴리염화알루미늄(PAC), 소석회 등 화학물질을 응집제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부유 현탁물이 침전 또는 억류되며 강의 펄과 섞여 만들어진 찌꺼기다.

‘정수 오니’, ‘정수 탈수케이크’ 등으로도 불린다.

산업화 이전에는 수돗물 이용이 적고 강물 오염원이 적은 탓에 발생량이 극히 미미해 별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산업화·현대화하며 상수도체계가 발달하고 물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정수슬러지 발생량도 함께 증가했고 문제가 되기 시작했다.

여기에 이전엔 보지 못했던 각종 오염물질이 가정이나 공장, 농업현장, 축산농가 등에서 강으로 유입돼 더 강력한 중금속 화학물질을 응집제로 투여 할 수밖에 없게 됐다.

▲ 정수장에서 정수슬러지가 발생해 쌓이고 있는 모습.
이처럼 유해화학물질을 응집제로 다량 투여함으로써 정수슬러지 자체에서도 유해물질이 검출되기 시작했고, 영구히 썩지 않아 재활용에도 한계가 발생하면서 처리에 골머리를 앓게 됐다.

여기에 일부 유기성슬러지처럼 재활용 해 퇴비로 사용하기에도 불가능하고 매립을 한다해도 함수율이 높아 유해물질이 용출돼 지하수나 토양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정수슬러지에 대한 적절한 처리기술을 아직도 찾지 못했다는 것이며, 이로 인해 전 세계가 고민을 거듭한 끝에 우선 해상폐기물 국제협약인 ‘런던협약(1975년 발효)’을 통해 정수슬러지의 해양투기를 전격 금지시켰다.

악성 유해물질인 정수슬러지로 인해 바다 생태계가 망가지는 것을 막자는 취지였으며, 우리나라 역시 지난 2006년 ‘육상폐기물 해양투기관리 종합대책’을 마련, 건설공사 찌꺼기·하수 준설물(2006년)을 시작으로 가축분뇨·하수 찌꺼기(2012년), 분뇨·음식물 폐수(2013년)의 해양 배출을 단계적으로 금지했다. 산업폐수와 폐수오니의 경우 2014년부터 해양배출을 금지시켰다.

참고로 환경부의 2016년 ‘정수처리오니 지역별 발생량, 처리방법, 처리업체 현황’에 따르면 정수슬러지는 한 해 전국적으로 총 449,930톤이 발생한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