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에 필요한 재원 수요 대비 국제사회의 지원은 많이 부족한 수준임에 따라 기후변화 분야에서 기존 환경기금과 차별화된 새로운 국제금융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설립이 제안됐다.

이후 지난 2010년 칸쿤 UN기후변화총회에서 GCF 설립에 합의했으며, 기후변화 장기재원(2020년에 연간 1,000억불 목표)의 상당부분을 GCF를 통해 조성·집행하기로 결정했다.

이 때문에 GCF는 ‘환경 분야의 월드뱅크’로 불리고 있다.

2011년 더반 기후변화총회에서는 GCF 설립을 최종 결정하고 설립 일정 등에 합의했다.

이후 2012년 4월 한국을 비롯한 독일, 스위스, 멕시코, 폴란드, 나미비아 등 6개국이 GCF사무국 유치신청서를 제출, 10월 우리나라 인천 송도가 사무국 유치 도시로 최종 선정됐다.

GCF 사무국 유치로 우리나라는 처음으로 중량감 있는 국제기구(본부)를 유치하게 됐으며, 불리할 것이라는 전망을 극복하고 유치에 성공한 것은 우리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국제적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는 반증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 녹색기후기금(GCF)사무국이 위치한 인천 송도 G-Tower.
여기에 산림녹화, 배출권거래제 도입, GGGI 설립 등 한국의 선진국·개도국간 가교역할에 대한 기대도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녹색분야 핵심 국제기구인 GCF 사무국 유치로 글로벌 기후변화 논의에서 우리나라의 소프트 파워와 와 리더십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GCF 사무국 유치 이후 국제사회에서 한국(송도)을 기후재원(climate finance) 논의의 중심지로 생각하는 등 인지도가 상승하고 있다.

또한, GCF 사업에 대한 우리기업의 참여가 용이해지고, 기후변화 전문가·기관의 전문성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GCF와 직원들에 의한 고용(2020년까지 약 500명 예상) 및 부가가치 창출 효과 외에 국제회의 개최 등에 따른 MICE·컨설팅 등 서비스산업 발전도 기대되고 있다.

실제로 GCF는 지난 2013년 12월 사무국(인천 송도 소재) 출범 이후 2018년까지 103억불의 재원을 조성하기로 했고, 현재까지 총 53개 사업, 26.3억불 규모의 자금을 지원(총 사업규모: 91.6억불)했다.

한편 GCF 사무국 유치 직후 당시 이명박정부가 "2020년까지 GCF에 8,450억 달러의 재원이 쌓이며 이로 인해 3,800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 기대된다"는 둥의 근거없는 홍보자료를 돌려 문제가 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