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S는 카본 캡쳐 앤드 스토리지(Carbon Capture & Storage)의 약자로 CO2가 고농도로 발생하는 발전소 등의 발생원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압축하고 운반한 후 지중, 해양 퇴적 암반층에 주입함으로써 대기중으로부터 CO2를 격리시키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사업을 총칭한다.

이 같은 CCS가 온전히 운영되기 위해서는 CO2 포집기술과 수송·저장기술 등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CCS기술은 태양광, 풍력, 바이오매스 등 그린에너지(Green Energy)를, 현재 주에너지로 사용하고 있는 휘발유나 경유에 비해 저렴하고 품질좋은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즉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시대로 가기 위한 중간단계에서 결정적인 역할과 기여를 할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CCS기술의 원천기술을 개발, 상용화 할 수 있다면 천문학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재 미국을 비롯한 일본, EU 등 선진국들은 이미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기술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상태다.

여기에 지난 2011년 남아공 더반에서 열린 제17차 유엔기후협약 당사국총회(COP 17)에서 CCS기술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을 청정개발체계(CDM)로 인정하기로 결정하면서 CDM으로 얻는 수익기반도 기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 해양CCS 개념도.
사실 CCS는 CO2를 근본적으로 줄이는 기술이 아니라 이미 배출된 CO2를 땅속이나 해저 지중에 묻어서 처리하기 때문에 CDM으로 인정할 것인지 여부를 놓고 수년간 논란을 빚어왔다.

그러나 세계 과학계의 노력에 의해 CO2에 압력을 가하면 액체가 되고 이를 땅속이나 해저 지중에 압력을 또 가해 묻으면 암반 사이에 저장돼 물, 칼슘 등과 섞여 결국 광물화하는 것으로 검증됨에 따라 CDM인정 여부 논란에 종지부를 찍게 된 것이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는 지난 2010년 7월 녹색성장위원회 주도로 ‘국가 CCS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해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미래창조과학부, 해양수산부 등 4개 부처 공동으로 관련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환경부는 CCS 기술의 전과정, 즉 이산화탄소의 포집·수송·저장·사후관리 단계의 환경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2014년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환경관리연구단’을 발족시켜 세계 수준의 누출 모니터링 기술 및 환경위해성 평가·관리기술을 개발 중이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