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발전과정에서 배출되는 고준위 핵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는 중·저준위 방사성 물질에 비해 방사선 강도가 높아 취급에 극도의 주의가 필요한 맹독성 물질이다.

이에 따라 수 십만년 동안 독성이 유지돼 오랜 동안 생태계와 완전히 격리시켜 보관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매년 약 700톤이상의 사용후핵연료가 발생해 각 원전내에 임시저장 중이다.

이 같은 임시저장시설은 2016년부터 포화가 예상되며 시설확충 등을 통해 최초 포화시기를 2024년까지 연장 가능하나, 아직까지 관리대책을 수립하지 못한 상황이다.

 
사용후핵연료는 방사선과 높은 열을 방출해, 안전한 관리가 미래세대를 위해 중요한 문제로 현세대가 반드시 해결해야하는 과제다.

과거 사용후핵연료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지역사회와 공감대 형성없이 부지확보를 추진한 결과, 1990년 안면도, 2003년 부안 등에서 주민소요가 발생하는 등 커다란 사회적 갈등을 겪어왔다.

이에 따라 이 같은 사용후핵연료에 대한 사회적 공론화 방안 마련에 대한 필요성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으며,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공론화 위원회'의 구성이 대안으로 검토돼 왔다.

결국 2013년 10월 논란 끝에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가 공식 출범, 2014년 연말까지 사용후핵연료 관리에 대한 정부 권고안을 내기로 한 바 있다.

공론화위원회는 2014년 11월18일 예정된 정부 권고안을 발표했는데, 이에 대해 시민단체들은 "공론화에 대한 의제조차 확정짓지 않고 시간만 보내다 임기 한 달을 남기고 아무 내용 없는 의제를 발표했다"며 공론화 위원회가 오히려 갈등만 증폭시켰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