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민 지음, 문학동네 펴냄

괴테는 봉건체제가 무너지고 시민사회와 자본주의가 주도권을 쥐기 시작한 시대를 살았던 인물이다.

근대 기술문명과 산업사회의 급성장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던 당대의 대표적인 지성이 괴테였다. 오랫동안 독일 생태문학에 천착해온 저자 김용민 교수(연세대 독어독문학과)는 근대의 길목에서 근대를 날카롭게 성찰한 괴테 문학의 밑바탕에 생태주의가 자리잡고 있다고 본다.

 
괴테는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전일적 관점에서 보고 지상의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생태주의적 관점을 견지하고 있었다.

괴테의 사상은 ‘생태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에른스트 헤켈에게 영향을 미쳤다.

헤켈은 생태학을 “유기체가 주위 환경과 맺고 있는 관계를 연구하는 종합학문”이라 정의했는데, 이러한 생각은 괴테의 범신론과 다윈의 진화론을 종합하여 발전시킨 것이었다.

독일의 생태주의 전통을 연구한 영국 독문학자 악셀 굿바디는 괴테를 가리켜 “독일인의 자연 인식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끼친 작가이자 사상가”라 칭했으며, 독일의 정치가이자 환경운동가인 헤르베르트 그룰 역시 괴테를 유럽 정신사에서 자연과 인간을 가장 깊이 이해한 사람 중 하나로 평가했다.

괴테는 수많은 작품을 통해 “근대의 공리주의와 물질주의, 그리고 과학기술 및 산업에 의한 세계의 개조라는 경제적, 과학적, 사회적 기획”에 단호히 맞섰다.

발전과 진보를 전면에 내세운 근대적 진보사상을 극단화한 인물이 바로 파우스트다. 이 인물 속에는 자기 목적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끊임없이 욕망을 추구하며, 자연을 파괴하고 진보를 맹신하는 근대적 인간의 특성이 모두 들어 있다. 파우스트에게 자연은 그저 정복하고 이용해야 할 대상일 뿐이었다.

괴테는 특히 『색채론』에서 근대 자연과학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자연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했다.

뉴턴을 위시한 근대 자연과학자들은 인간의 주관을 배제하고 관찰과 실험을 통해 입증된 사실만이 객관적 보편성을 갖는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완벽한 정량화를 추구했고 모든 것을 수와 공식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그러나 경험과 체험을 강조하는 괴테에게 세상이나 자연은 그렇게 단순한 공식으로 환원될 수 없다.

괴테는 자연을 근본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연현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뉴턴의 광학 이론에 맞서 괴테는 색채를 관계론적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색채는 인간과 무관한 현상이 아니라 인간의 “눈에 속하는 것, 그리고 눈의 작용과 반작용에 기인”한다.

색채는 뉴턴의 프리즘 실험처럼 단순히 광학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괴테의 방법론은 근대 자연과학이 배제시킨 인간의 주관적 감성과 감각, 그리고 직관을 자연과학에 재도입해 자연을 이해하려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인간의 감정은 물론이고 대상을 관찰하고 실험하는 주체마저 배제시키는 근대 자연과학에 맞서 괴테는 주체와 객체를 결합시킨 새로운 자연과학을 정립하려 했다.

모든 것을 자신과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관찰하는 괴테는 부분과 전체의 연관성을 강조했고 주체와 객체도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로 보았다.

이는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서로 생명의 고리로 연결된 채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관점으로 이어진다.

괴테는 인간이 단지 자신의 발전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사물의 자연 질서 속에 자리하고 있는 우리의 위치”를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고 보았다. 인간이 자연과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스스로 자연법적 질서에 편입되어야 한다.

이런 통합적 사고의 바탕에는 인간이 자연과 깊이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에 대한 깊은 존중이 깔려 있다.

한편 이 책의 저자 김용민은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보쿰 대학 독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통일 이후의 독일문학과 생태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