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24일(수) 석탄회관에서 ‘제3차 원전해체산업 민관협의회’를 개최해 원전 후행주기 분야에서의 기자재 해외진출 사례 소개,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 후속조치 현황 및 정부지원 사항 등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원전산업은 설계·건설 등 선행주기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치우쳐 있어 해체·폐기물관리 등 후행주기 산업기반은 부족하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가동 중인 원전 453기 중 30년 이상된 원전의 비중이 68%에 이르러 노후 원전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고,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이 12기에 이르게 돼 후행주기 산업역량 육성의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참고로 2030년까지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은 고리1·2·3·4, 월성1·2·3·4, 한빛1·2, 한울1·2 등 12기다.

이에 이번 민관협의회 행사는 원전 후행주기 분야에서 국내기업의 기자재 수출과 같은 우수사례를 적극적으로 소개해 기존의 선행주기 역량을 토대로 새로운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잠재 역량과 성공 가능성을 확인하고, 원전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기 위한 자리다.

아울러 올해 4월 발표한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의 후속조치 점검과 함께, 원전기업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개발(R&D) 자금 지원, 원전해체 대비 조기발주 등 정부지원 계획 등에 대해서도 점검·확인하고자 마련됐다.

소개된「세아베스틸」과「두산중공업(두산밥콕)」의 사례는 해체·폐기물 관리 등에서 사업수행 실적(Track-Record)이 부족하고 아직 국내 후행주기 산업이 본격 시작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국내기업의 기술과 역량이 인정받기 시작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 향후 전세계적으로 본격화될 원전해체·폐기물관리 등 원전 후행주기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평가다.

세아베스틸(특수강 생산 전문 중견기업)의 경우 ORANO TN과 협력해 해체 및 방폐물 관리에 필수 기자재인 사용후핵연료 저장용기(CASK) 시제품 제작을 2019년 7월 완료해 미국시장 진출 가능성을 높였다.

▲ 사용후핵연료 저장용기.
세아베스틸은 CASK 제작 관련 국내외 기술인증(ASME, KEPIC 인증)을 받았고, 동 시제품은 미국 NRC 규정에 적합하게 제작됐다.

세아베스틸은 ORANO TN의 글로벌 공급망으로 등록되었으며, 미국 NRC의 제작 감독 검사를 완료하게 되면 ORANO TN의 전세계 공급망을 통해 미국 뿐 아니라, 유럽 및 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하게 된다.

참고로 2015∼2030년간 CASK 시장규모는 124억달러로 추정(INMM 국제 세미나 자료)된다.

세아베스틸과 ORANO TN은 조만간 협력 MOU를 확대해 글로벌시장 진출 협력방안 등을 긴밀하게 논의해 나갈 예정이다.

세아베스틸의 CASK 시제품 제작이 ㈜무진기연, ㈜비알앤씨 등 다양한 분야의 30여개 중소기업과 협력관계로 이루어 있어 세아베스틸의 글로벌 시장 진출은 다른 국내 중소기업의 동반 진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두산중공업은 자회사인 두산밥콕-셀라필드社 간 계약 체결을 토대로 국내 중소기업과 함께 원전해체·방폐물 관리 해외시장 진출을 추진 중이다.

두산중공업의 CASK 해외 수출 실적(일본 동경전력)과 자체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는 CASK도 소개됐다.

두산중공업은 원전 주기기 제작 및 정비 등을 통해 축적한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해체 분야에도 진출을 추진하고 있으며, 소재·기기제작·성능검사 등 다양한 분야의 중소기업과 협업하여 산업 생태계 역량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정부와 한수원 등 관련 기관들은 고리 1호기 해체가 2022년 이후로 예정돼 있어 아직 원전해체가 본격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내외 해체시장 확대에 대비해 초기 시장을 창출하고 산업 생태계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연구개발(R&D) 자금 지원, 해체물량 조기발주 등을 추진할 계획임을 다시 확인했다.

우선 원전해체 분야 중소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하반기에 추가로 R&D 신규과제 참여기업을 공모할 예정으로, 9개 과제에 약 79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추가로 해체와 방폐물관리 분야의 고도화 기술개발 및 상용화 역량 확보를 위해 과기부와 공동으로 중장기 기술개발 사업을 기획 중에 있다.

해체분야는 내년(‘20년) 상반기, 방폐물 관리 분야는 금년 11월 각각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예정이다.

다수의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원전해체 단위사업을 세분화(1개 단위사업을 6개로 분리하는 등)해 2022년까지 총 1,640억원 조기발주를 추진할 계획이다.

상반기에 고리 1호기 안전관리기간 정비공사 등에 이미 74억원의 사업물량 발주를 완료했으며, 2019년 하반기에 추가로 고리1호기 수계소화 배수설비 설계변경 등 약 120억원의 사업물량에 대해 발주할 예정이다.

아울러 중소기업 지원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해 현장의 전문 인력을 지속 양성해 나갈 예정이다. 국내외 전문기관과 협력해 19년에 300명 이상의 전문인력 교육을 추진할 예정이다.

원전해체 지원센터 등을 통해 관련 제도 개선 및 선진국과의 기술협력·정보교류 등도 꾸준하게 추진해 나간다.

또한 고리1호기 해체 계획서 초안 마련 및 주민 의견수렴, 해체 관련 안전기준 명확화 등을 통해 원전해체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에 대한 불확실성(리스크)을 완화하고, 원전해체의 안전성도 높여갈 것이다.

산업부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은 “오늘 발표한 사례들을 통해 우리 원전기업의 잠재역량과 성장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기업들이 원전해체, 방폐물 관리 등 후행주기 분야의 다변화된 新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기를 희망한다”면서,“정부도 오늘 발표한 사례들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돼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유발할 수 있도록 R&D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지원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