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공동연구 보고서 발간…국가별 수치, 단순 평균값 내 발표 한계

지난 2017년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미세먼지의 32%는 중국에서 기인한 것이라는 한·중·일 3국의 공동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그러나  이번 연구가 연평균 농도를 기준으로 발표됐고, 나라마다 다른 분석결과를 평균내 도출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장윤석)은 20일 한·중·일 3국의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결정자를 위한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국제공동연구(LTP)’ 요약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한·중·일 과학자들은 2000년부터 단계적으로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연구를 추진했고, 4단계 연구기간인2013~2017년 동안의 초미세먼지(PM2.5)에 대한 연구결과까지 추가해 이번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번에 발간하는 보고서는 한·중·일 3국의 환경당국 담당자의 검토를 마치고 2018년 발간될 예정이었으나, 중국측의 이견에 따라 발간이 한 차례 연기됐다.

그러나 올해 2월 우리나라 조명래 환경부 장관과 중국 리간제 생태환경부장관이 제21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11월 23~24일, 일본) 전까지 발간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이번 보고서가 발간될 수 있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각 국의 배경농도 관측지점에서 2000~2017년 기간 동안 장기 관측(모니터링)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국 모두 황산화물(SO2), 질소산화물(NO2),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의 농도가 감소 추세임을 확인했다.

특히, 전국 규모의 국가별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의 경우 2015년 대비 2018년 농도가 우리나라는 12%, 중국은 22% 감소했으며, 일본은 2015년 대비 2017년 농도가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17년을 대상으로 대기질 모델 기법을 이용해 초미세먼지(PM2.5)에 대한 3국 주요도시의 국내외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체 기여율은 연평균 기준으로 한국 51%, 중국 91%, 일본 55%로 나타났다.

▲ 한·중·일 도시별 초미세먼지(PM2.5) 상세 기여율.
아울러 2017년 연평균 기준으로 중국 배출원에 대한 우리나라 3개 도시에 대한 평균 영향은 32%, 일본에 대한 영향은 25%로 나타났다.

한편, 같은 기준으로 우리나라 배출원의 중국에 대한 영향은 2%, 일본에 대한 영향은 8%로 산정되었고, 일본 배출원의 우리나라에 대한 영향은 2%, 중국에 대한 영향은 1%로 나타났다.

한·중·일 3국 과학자들은 이번 보고서를 위한 연구가 각국의 최신 배출량 자료를 사용해 ‘배출원-영향지역 관계’를 분석했다는 점에 큰 의미를 부여했다.

또한, 3국의 과학자들은 향후 상세 오염물질들에 대한 측정과 모델 개선, 그리고 배출량 정확도 향상 등을 위한 공동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국립환경과학원 장윤석 원장은 “이번 보고서는 한·중·일 3국의 연구진이 공동으로 연구를 추진하고, 3국 정부가 연구결과를 함께 검토해 발간하게 된 최초의 보고서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이 보고서가 미세먼지 등 동북아 대기질 개선을 위한 국가 간 협의의 귀중한 과학적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번 연구가 연평균 농도를 기준으로 발표됐고, 나라마다 다른 분석결과를 평균해 발표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중·일 미세먼지 상호 영향에 관한 연구는 최소한 계절별로 나누어서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뭉둥그려 연평균 농도로 발표하면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또 이번 연구에서 중국 연구팀은 서울의 초미세먼지가 23%는 중국에서 왔고, 63%는 한국 자체 발생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우리나라 연구팀은 서울 초미세먼지의 39%는 중국에서 왔고, 42%는 한국에서 자체 발생해 한국과 중국의 기여율이 비슷하다고 봤지만, 발표된 공동보고서는 단순히 양국 평균치로 결론을 내버렸다.

이에 대해 학계에서는 "미세먼지 기여율에 따라서 각국의 정책 수립 방향도 달라지기 때문에 어느 나라의 연구가 좀 더 정확한지, 어느 연구에 더 가중치를 두어야 하는지 분석해 보고서를 보완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