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숲 조성사업은 갯녹음으로 사막화된 바다 속에 인위적으로 해조류 밀집군락을 조성해 수산생물의 산란장과 서식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지난 2009년부터 시작됐다.

이 같은 바다숲 조성사업이 추진된 계기는 연안의 바위에 석회조류가 대량 번식해 해조류를 사라지게 하는 '갯녹음 현상'이 확산하는 데 따른 것이다.

우리 연안의 갯녹음 발생면적은 지난 2004년 6,954ha에서 2008년 15,000ha, 2010년 조사 때는 14,317ha로 연평균 약 1,200ha 이상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수산생물의 산란·서식기반이 붕괴돼 어업생산성이 감소하고 있는 실정.

그렇지만 이렇듯 사막화 하는 연안 바닷속에 바다숲을 조성하면 바다를 황폐화시키는 갯녹음이 사라지고 생태계가 복원되는 것은 물론 어업인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다숲 조성사업은 처음 시작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7년간 전국 연안 87개소에 약 9,145헥타르가 조성됐다.

▲ 갯녹음으로 인한 해조류 고사해역(좌)과 바다숲 조성해역(우).
바다숲 조성사업은 지난 2012년 2월 22일자로 '수산자원관리법' 일부개정법률이 공포돼 '바다식목일'이 제정되며 전기를 맞았다.

정부는 매년 5월 10일을 국가기념일인 바다식목일로 지정하며 지금까지 수행해온 여러 수산자원사업 중 바다숲 조성사업을 녹색성장 및 지속가능한 어업생산성 향상을 위한 수산분야 SOC(사회간접자본) 확충의 관점에서 접근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재 연간 700~800ha규모에 머물고 있는 조성 대상면적을 1,2차 조정계획을 세워 매년 5,000~10,000ha씩 늘려나가고 오는 2030년까지 최대 35,000ha까지 확대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한편 정부는 바다숲의 해조류 서식밀도를 자연생태계의 해조숲군락 수준으로 복원시킴으로써 수산생물의 산란·보육장의 역할은 물론 이산화탄소흡수, 바이오매스 생산 등의 기능을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중장기적으로 바다숲 조성해역을 클러스터·벨트화해 더욱 효과적으로 조성·관리해나가는 것은 물론 바다목장, 종묘방류 등과 같은 다양한 수산자원조성사업을 체계적이고 복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여기에 바다 생태계 회복에는 국민적 관심을 절실하다고 판단, 환경단체 등이 참여하는 바다녹화운동을 연중 실시하고 사회적 기업의 참여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