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발생한 대형산불 피해지역의 신속한 복구를 돕고, 산사태 등 2차 피해 방지용 기본 도면을 구축하기 위해 다중분광센서(멀티스펙트럼), 항공라이다센서(3D 레이저스캐너) 등을 장착한 드론을 3월 23일(월)부터 투입한다고 밝혔다.

다중분광센서sms 식생의 활력도를 통해 산불피해규모를 분석할 수 있도록 컬러 외에도 근적외선(Near-Infrared), 적색경계밴드(Red-edge)가 포함된 센서로 인공위성에 주로 탑재, 드론에 탑재할 경우 공간해상도가 약 10배 정밀하다.

항공라이다센서는 2차 피해방지를 위한 토사유출이나 산사태 위험도 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산림지역을 3차원으로 입체 스캐닝하는 센서로 지형은 물론 나무의 형태까지 초정밀 입체 형상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이번 산불은 3월 19일(목) 13시 51분경 울산 울주군 웅촌면에서 발생해 최대풍속 20m/s의 강한 바람을 타고 축구장 약 200개 면적(약 200ha)를 태운 후 다음날 20일(금) 11시경 진화됐다.

▲ 19일(목) 13시 51분경 울산 울주군 웅촌면에서 발생한 산불의 피해지역.
투입된 진화자원은 헬기 31대, 인력 1,942명, 지상 장비 112대 등으로 울산시 임차헬기가 추락해 부기장 1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도 있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는 이번 산불 피해지역의 식생 활력도를 파악할 수 있는 다중분광센서로 피해지역을 촬영하고 정확한 피해규모를 분석하여 산림복원 계획에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3차원 지형분석이 가능한 항공라이다센서를 통해 우기에 산사태 가능성이 큰 응급복구대상지를 선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해당 지자체 및 산불유관 기관에 제공할 예정이다.

산림방재연구과 우충식 박사는 “드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산불소화탄 투하, 소화약제 분사 등 산불진화의 ‘골든타임’ 확보할 새로운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며 “첨단 ICT 기술을 적재적소에 활용하여 진화자원 배치 및 운영 등 산불대응의 효율성을 높이고, 주민과 진화대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번 산불 현장에서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된 드론을 활용해 화선(火線)의 위치와 방향을 탐지해 현장대책본부에 제공하고, 잔불의 위치를 분석하여 뒷불(재발화)이 발생하지 않도록 진화하는데 기여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