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카모토 요리타카 지음, 보누스 펴냄

사람들은 농사라고 하면 흔히 땡볕 아래 땀 흘리며 넓은 밭을 일구는 장면을 연상하곤 한다.

그러나 작은 화분에서 방울토마토를 키우거나 베란다에서 소일거리로 상추를 키우는 것도 똑같은 농사다.

농사는 삶에서 가장 일상적인 활동이다. 우리는 언제든 원할 때 농사에 바로 뛰어들 수 있다.

인간이 세상을 살아가는 가장 이상적인 형태는 ‘모든 사람이 농업에 종사하는 것’이다. 누구나 자신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먹을거리를 재배할 권리가 있다는 뜻이다.

 
주변의 먹고살 모든 것이 위험하고 불안한 현대 사회에서, 직접 짓는 농사는 삶의 불안과 초조함을 해소하고 생활에 작지만 소중한 여유를 가져다준다.

이미 크고 작은 텃밭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나도 한번 농사에 도전해볼까?’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의 발목을 잡는 것이 있다. 바로 무성하게 자라는 잡초와 들끓는 벌레, 작물에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이다.

이들은 흔히 농사를 망치는 방해꾼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처음에는 친환경으로 채소를 키우려 마음먹었다가도 비료나 농약, 제초제를 꼭 써야 하는지 고민에 빠지는 일이 흔하다.

결론부터 말하면, 오히려 비료나 농약이 없어야 작물을 힘들이지 않고 잘 재배할 수 있다.

비료와 농약은 농사를 돕는 자연의 역할을 방해해 채소 재배를 더욱 힘들게 하는 진짜 방해꾼이다.

편하게 농사를 지으려 하는 행동이 사실은 농사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텃밭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은 이미 저마다의 방식으로 작물이 잘 자라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채소가 자라는 터전인 흙과 하늘은 물론 지하수, 이름 모를 잡초들, 수많은 벌레들이 작물을 중심으로 공생하고 있다.

작물을 괴롭힌다고 생각했던 존재들이 사실은 작물 성장에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연의 섭리를 깨닫게 되면 농사를 대하는 관점이 완전히 달라진다.

예를 들면, 콩 꼬투리에는 씨앗이 2~3개씩 들어 있다. 자연 상태에서 콩은 이 씨앗들을 한꺼번에 떨어뜨려 한데 모여 자라게 한다.

콩은 경쟁하며 자라는 것을 좋아하는 식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람 손으로 콩을 심을 때도 자연이 씨앗을 뿌리는 방식처럼 한번에 두세 개씩 심었을 때 딱 알맞게 자란다.

하나씩 심으면 줄기만 지나치게 굵어지고 알이 잘 맺히지 않는다.

밭에서 자라는 잡초도 종류에 따른 역할이 있다. 쑥 같은 국화과 식물은 곤충의 개체 수를 조절해주고, 쇠뜨기나 살갈퀴 같은 풀은 토양을 작물이 자라기 좋은 약산성 상태로 만들어준다.

콩과에 속하는 잡초는 식물이 성장하는 데 꼭 필요한 질소를 토양에 고정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잡초를 무조건 뽑아내기보다는 풀의 특징을 잘 파악하고 작물 성장을 보조하는 식물로 함께 키운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처럼 자연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작물을 키우면 어떤 채소든 상황에 맞게 잘 키워낼 수 있다.

『무비료 텃밭농사 교과서』는 단순한 농사 매뉴얼이 아니다. 대신 친환경으로 텃밭 채소를 키우고 싶은 사람에게 자연이 가르쳐주는 재배법을 알기 쉽게 전달한다.

흙, 풀, 물, 하늘, 곤충을 비롯해 텃밭을 이루고 있는 자연의 역할을 이해하고 키우는 작물이 필요로 하는 것들을 제대로 파악하면 농사가 쉽고 즐거워진다. 비료와 농약 없이 농사를 지으며 채소는 물론 우리의 몸과 마음도 건강해질 것이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