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산업통계 결과, 환경산업 전체 매출액의 43% 차지하지만 GDP의 2.2% ‘미약’

국내 물산업의 일반 현황을 조사·분석한 ‘2018년 물산업 통계조사 보고서’가 발간됐다.

물산업 통계는 국내 물산업 일반현황을 파악할 목적으로 매년 전국의 물산업 사업체를 대상으로 업체별 고용인원과 매출액 규모 등을 조사하는 국가승인통계다.

물산업 통계는 근거법령의 부재 등을 이유로 국가승인을 획득하지 못하던 중,「물산업진흥법」제정 후, 지난 2019년 9월 통계청 승인을 획득, 이번엔 처음 발표하게 됐다는데 의미가 있다.

16일 환경부(장관 조명래)에 따르면  이번 보고서는 지난해 조사시점 기준으로 물산업 활동을 영위하고 있는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2018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경영활동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8년 말 기준 물산업 영위 사업체 수는 총 15,473개로, 업종별로는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8,124개로 물산업의 52.5%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으며, 다음은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5,358개, 34.6%)'이 뒤를 이었다.

물산업 분야 종사자는 183,793명으로 추정됐으며, 업종별로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74,044명(40.3%)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63,144명(34.4%)이었다.

그 뒤를 '물 산업 관련 과학기술, 설계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업'이 31,410명(17.1%), '물 산업 관련 시설 운영, 청소 및 정화업' 15,192명(8.3%)이 이었다.

▲ 2018년 말 기준 물산업 영위 사업체 수(위)와 매출액(아래).
2018년 물산업으로 발생한 매출액은 43조 2,506억 원으로 추정됐으며, 업종별로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24조 8,609억 원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11조 8,087억 원, '물 산업 관련 과학기술, 설계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업'은 3조3,855억원, '물 산업 관련 시설 운영, 청소 및 정화업' 3조1,955억원 등이었다.

2018년 기준 물산업 수출액은 1조 9,306억 원으로 추정됐으며, 업종별로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1조 6,821억 원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1,769억 원이었으며, '물 산업 관련 과학기술, 설계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업'과 '물 산업 관련 시설 운영, 청소 및 정화업'은 1.85억원과 715억원으로 기대 이하였다.

2018년 기준 물산업 사업체 중 연구개발을 하는 비율은 13.3%이며, 전체 연구개발비는 8,943억 원이었다.

업종별로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의 연구개발비가 5,674억 원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1,782억원, '물산업 관련 과학기술, 설계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업'의 연구개발비가 1,164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물산업 분야는 공공분야 비중이 높고(40.3%), 연구개발(R&D) 활동기업 수(전체 기업 중 13.3%)가 낮은 것이 특징이다. 앞으로 물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인·검증 취득과 특허 획득을 중점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물관리 일원화 이후 작성된 최초의 물산업 통계조사 보고서라는데 큰 의의가 있다는 평가다.

물관리 일원화 이전에는 정부 부처 간 상이한 물산업 범위와 분류기준으로 인해 국내 물산업 현황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다.

환경부는 2018년 6월 물관리 일원화 이후, 기존 상하수도 중심의 통계조사에 국토교통부에서 이관된 수자원 분야를 포함하여 새로운 물산업 범위와 분류체계를 확정했으며, 이를 토대로 이번 보고서의 통계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보고서의 자세한 내용은 물시장종합정보센터 누리집(www.wabis.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환경부는 이번 보고서에 포함된 통계조사 결과를 물산업 진흥정책의 수립과 이행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환경부 김동진 수자원정책국장은 “실효성 있는 물산업 육성정책의 추진을 위해서는 국내 물산업 일반현황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 확보가 필수적”이라면서 “물산업 통계가 물산업 정책의 수립과 이행을 충실이 뒷받침 할 수 있도록, 앞으로 통계품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