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색경제는 단순히 환경을 보호의 차원을 넘어 생태계의 시스템을 모방하고 에너지와 양분의 끊임없는 순환을 통해 지속가능성한 발전을 달성하는 방법이다.

환경이라는 공유자산을 소비하는 적색경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을 보전하는 동시에 동일 수준의 이익을 추구하는 녹색경제와 비교되는 개념이다.

청색경제란 말은 지난 2010년 6월 벨기에 출신의 환경운동가인 군터 파울리가 펴낸 『청색경제(The Blue Economy)』란 책에서 처음 사용됐다.

 
군터 파울리는 이 책에서 100가지 자연중심 기술로 2020년가지 10년동안 1억개의 청색 일자리가 창출되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군터 파울리는 이 같은 100가지 사례를 통해 자연세계의 창조성과 적응력을 활용하는 청색경제가 고용창출 면에서 매우 인상적인 잠재력이 있을을 확인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청색경제를 뒷받침하는 '청색기술'이란 용어는 지식융합연구소 이인식 소장이 2012년 『자연은 위대한 스승이다』란 책에서 제안하며, 통용되기 시작했다.

이 소장은 이후 2013년에 『자연에서 배우는 청색기술』을 엮어 국내외 다양한 청색기술의 개념과 사례를 소개하고 산업화 적용을 모색한 바 있다.

이 소장에 따르면 대표적인 청색기술은 물총새 부리를 모방한 일본의 신칸센 열차, 상어 피부를 모방한 수영복, 홍합단백질, 인공나뭇잎 등이다.

한편 국제사회는 이 같은 자연에서 배운 청색기술로 대표되는 세계 청색경제 시장이 오는 2025년까지 1천200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