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슐리 도슨 지음, 한울 펴냄

기후변화는 바로 지금 일어나고 있으며, 무엇보다 다수 인류가 거주하는 장소인 도시에서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도시화에 대한 지배적인 전망은 여전히 놀라울 만큼 긍정적이며, 심지어 공상적이기까지 하다.

『극단의 도시들』은 세계 주요 대도시의 불균등한 발전과 재난의 조건을 탐구하면서, 오늘날 극단의 도시에 닥친 위험을 경고한다.

 
나아가 극단의 도시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파멸적인 성장에 대해 무책임한 자본주의적 문화의 해체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고 제언한다.

2015년 세계 195개국은 파리기후변화협정을 통해 2100년까지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2°C 이하로 유지하며 궁극적으로는 1.5°C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그런데 대통령 선거 때 “기후변화는 거짓말이며 중국이 날조한 것”이라고 주장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은 기어이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탈퇴했다.

인류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이 기후변화의 주요한 원인이라는 점은 오늘날 대다수 과학자들이 인정하는 사실이지만, 기후변화 부인론자들은 기후변화는 없다고 말하다가 부인할 수 없는 증거들이 쌓이자 기후변화는 태양이나 화산활동 같은 자연적 현상의 결과라는 근거 없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는 지금 당장의 사건이며, 무엇보다도 다수 인류가 거주하는 장소인 도시의 문제다.

우리가 좋아하든 싫어하든 인간이 만든 기후혼란이 극적으로 세계의 도시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바로 이곳에서 기후변화의 가장 극심한 결과가 초래될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대다수 인류를 수용하고 온실가스를 대기에 가장 많이 배출하면서 해수면 상승과 강력한 폭풍에 노출되어 있는 도시야말로 기후변화의 최전선에 놓여 있으며, 그러한 도시의 자연적 취약성은 사회적 불의에 의해 고조된다고 말한다.

해안에 위치한 뉴욕, 로스앤젤레스, 보스턴,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마이애미, 필라델피아 등 미국의 거대도시 거의 전부와 세계적으로는 뭄바이, 광저우, 상하이, 호치민, 콜카타, 오사카, 알렉산드리아 등 해안 거대도시 다수가 위험하다고 저자는 경고한다.

이러한 ‘극단의 도시’는 현대 도시의 규정적인 특성이며 냉혹한 경제적 불평등의 공간이다.

인류가 앞으로 닥칠 폭풍을 어떻게 잘 견딜 것인지는 전적으로 도시가 인종, 계급, 젠더의 격차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달려 있으며, 극단의 도시야말로 인류의 생존을 위한 가장 중요한 투쟁이 일어나는 곳이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제1장〉 침몰하는 자본/수도는 현대 자본축적의 핵심 동력인 부동산 개발이 마이애미, 뉴욕, 자카르타 같은 도시에서 비합리적이고 비지속적인 형태의 도시화를 만드는 방식을 다룬다.

 〈제2장〉환경의 반격은 도시의 성장이 점점 더 관리하기 어려운 환경적인 갈등을 탄생시킨 뉴욕의 자메이카만과 뉴올리언스 남쪽 미시시피 삼각주의 역사적인 자연 ‘정복’을 다룬다.

 〈제3장〉바다의 변화환경의 반격, 모범적인 노력으로 간주되는 네덜란드의 폭풍에 견디는 도시처럼 가장 준비가 잘 된 도시조차 마주하고 있는 엄청난 도전을 다룬다.

〈제4장〉상투어 탄력성은 기후변화가 가져온 위협에 도시를 적응시키려는 최첨단 노력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을 다룬다.

 〈제5장〉기후 아파르트헤이트는 기후난민의 처참한 현재 상태에 대해 폭로하면서 국가 주도 기후변화 대책의 부적절함과 가혹함을 비판한다.

〈제6장〉재난 공동체주의는 자연재해에 강타당한 도시 공동체들의 상호 지원 노력을 다루며, 〈결론〉에서 위험에 빠진 도시에서 철수하기라는 금기지만 피할 수 없는 주제와 극단의 도시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파멸적인 성장에 대해 무책임한 자본주의 문화의 비판을 다룬다.

저자는 생생하고 풍부한 사례와 치밀한 분석으로 독자를 이끈다.

한편 저자  애슐리 도슨(ASHLEY DAWSON)은 뉴욕시립대학교(CITY UNIVERSITY OF NEW YORK) 영어학과 교수이며 활동가다.

탈식민지, 포스트모던 문화, 환경인문학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특히 이민의 역사와 담론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현대적인 미 제국주의 담론과 기후정의 운동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