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르크 슈테펜스·프리츠 해베쿠스 지음, 해리북스 펴냄

10분마다 한 종이 지구상에서 사라지고 있다.

멸종은 진화의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문제는 그 속도에 있다. 현재 종의 멸종은 정상적인 진화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것보다 100배, 어쩌면 1,000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유엔 세계생물다양성위원회의 추정에 따르면, 하루에 150종이 멸종하고, 21세기 말까지 100만 종이 절멸할 위험이 있다. 10분마다 한 종이 지구상에서 사라지고 있는 셈이다.

 

전 지구를 곤경에 빠뜨린 코로나19 또한 이러한 대멸종의 과정과 무관하지 않다. 종의 멸종 원인 중 하나인 서식 구역의 파괴가 없었다면 이와 같은 전염병의 대유행은 애초에 일어나지도 않을 일이었다.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종 보호 활동가이자 자연 다큐멘터리 제작자인 디르크 슈테펜스는 독일 주간지 〈차이트〉의 환경 전문 기자 프리츠 하베쿠스와 함께 현재 한창 진행 중인 여섯 번째 대멸종을 기후 위기보다 더한 인류 최대의 난제로 규정한다.

기후 위기는 우리가 사는 방식을 위협하지만, 대멸종은 우리 인간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기 때문이다.

저자들의 대멸종에 대한 진단 및 해법은 급진적이면서도 현실적이다. 이들은 자본주의 밖이 아니라 그 안에서 해결책을 모색한다.

이기심을 인간이 가진 본성 중 하나로 인정하며 적으로 삼지 않는 방식으로 말이다. 이들에 따르면, 보호해야 하는 것은 자연이 아니다.

공룡이 멸종할 때와 같은 대량 절멸이 일어나더라도 몇백만 년 후에 자연은 다시 예전 수준으로 종 다양성을 회복할 것이기 때문이다.

지구가 존재하는 한, 자연은 어떤 식으로든 존재할 것이다. 다만 우리가 사라질 뿐이다. 보호해야 하는 쪽은 자연이 아니라 바로 우리 자신이다.

저자들은 잘 안다. 생태 위기를 과학적 사실과 당위로서 주장하고 호소해봐야 쇠귀에 경 읽기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을.

자본주의와 자유 시장을 생태 위기의 원흉으로 몰아세워 봐야 아무런 변화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을.

시장은 이익을 좇아 새로운 상황에 적응할 뿐이다.

이기심은 이타심과 더불어 진화가 우리 안에 심어 놓은 본성이다.

멸종의 경악스러운 규모를 접하고도 그저 어깨를 으쓱해 보일 따름인 사람들이 경기 침체의 위협 앞에서는 공황에 빠져 경악을 금치 못한다.

이것이 인간의 본성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여기서 이 책의 진가가 드러난다. 저자들은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구체적인 경제와 정치의 맥락 속에서 생태 문제에 접근한다.

이익이 줄어들 기미가 보이면 자본은 눈을 동그랗게 뜬다. 저자들은 이렇게 말한다.

“시장이라는 괴물을 돈으로 길들이면, 일이 훨씬 더 잘 풀린다.”(210쪽)

이를테면, 기업들이 공짜로 이용해온 생태계 서비스를 생산물의 경제적 가치 평가에 반영하고, 환경 관련 규제가 느슨한 국가에서 생산된 제품에 ‘생태 관세’를 부과하는 식이다.

즉 원인 제공자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들이 볼 때, “현재 우리의 경제는 생태적으로 볼 때 이중적이다.

이익의 사유화에 관해서는 자본주의적이면서 환경 훼손이라는 비용에 관해서는 사회주의적이다.”(214쪽) 녹색 사업은 이익이 많이 나고 자연 파괴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밑지는 사업이 되도록 만들면 된다.

자연에 권리를 부여하자는 이들의 파격적인 주장처럼, 생태 문제를 경제 문제로 변환하자는 이들의 주장이 현실화된다면 사회는 근본적으로 변화할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행동과 가치들을 변화시켜야 한다.

저자들은 우리가 그렇게 할 수 있다고 믿는다. 250년 전 노예제가 폐지되었듯이, 우리가 문제 제기, 세력 규합, 규제, 새로운 질서의 수립, 굳히기의 과정을 통해 생태 위기도 해결할 수 있으리라고 말이다.

코로나19 대유행에 세계가 대처한 방식을 보며 이들은 정치에서도 미래의 낙관적인 가능성을 본다.

“최근 역사에서 정치적 결정이 이토록 일방적으로 과학 지식에 의존한 적은 아마 없었을 것이다. 유행병은 이데올로기, 견해, 당리당략적 전술이 발붙일 여지를 허용하지 않았다. …… 핵심은 과학과 권력이 서로 대화하는 것이다. 과학은 무엇을 할 것인지 말하고, 정치는 언제 어떻게 할 것인지 말한다.”(282쪽)

저자들에 따르면, 낙관주의는 우리의 의무다.

상상하는 것만이 현실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인류세를 바람에서 숲 냄새가 나는 시대로 상상하자. 냇물이 우리에게 들어와 수영하라고 권하고, 아침에 우리가 집을 나설 때 지빠귀가 노래하는 시대로.”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