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익수 지음, 자유아카데미 펴냄

전북대학교 명예교수인 저자는 미래세대의 주인인 청소년은 물론 생물다양성에 대해 잘 알지 못했던 독자들 역시 우리나라의 물고기와 생물다양성에 관해 쉽게 이해하고, 우리의 자연사와 생태를 되짚어보며 또 내다보기를 바라면서 『우리 물고기의 생물다양성 탐구』를 집필했다.

대학에서 생물학을 전공하는 동안 저자는 동물생태학 분야에 관심을 가지며 우리나라의 물고기를 조사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물고기의 종마다 그들의 형태와 생태, 유전적 변이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특성 들을 발견했다.

 

저자는 이러한 생물다양성이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서 만들어진 소중한 자연유산이자, 동시에 인류의 생존을 지속시키는 유전자원이라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경제적, 생태적으로 가치가 높은 생물 다양성은 국가적인 보물로 여겨 오래도록 보존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산업의 발달과 개발로 인한 환경 오염이 심해졌고, 생물들의 자연 서식처는 크게 훼손되고 말았다.
 
그 결과 생물다양성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인류를 비롯한 모든 생태계의 구성원들은 생존마저 위협받는 생태적 위기와 기후변화 위기에 직면하게 됐다.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관상의 대상이자, 소중한 식품으로 오랫동안 생명공동체를 이루어 왔던 물고기 역시 이러한 위기에서 벗어나 있지 않다.

1장에서는 생물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생태계의 구성과 역할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수중 생태계를 대표하는 물고기의 형태와 분류 개념, 다양한 서식처 및 우리나라 담수어류의 분포 유래와 연구 기록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진기한 생활습성을 가졌다고 알려진 연어, 뱀장어, 어름치, 열목어, 큰가시고기, 말뚝망둥어, 버들붕어의 생태와 생활사에 관해 서술했으며, 3장에서는 한반도의 귀중한 자연유산이자 우리나라의 고유종인 쉬리, 어름치, 감돌고기, 꺽지, 납자루아과 어류, 퉁가리속 어류, 자생종인 송사리와 좀구굴치의 자연사와 연구 배경 등을 간추려 보았다.

4장에서는 사람들에게 아름다움과 친근감을 전해주는 쏘가리, 은어, 황복, 메기, 미꾸리, 잉어와 붕어, 피라미, 갈겨니, 참갈겨니의 형태와 생태, 그리고 우리 일상생활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저자가 물고기 연구를 시작한 동기와 물고기의 반문 변이에 대한 호기심에서 출발한 연구로 처음 찾아낸 신종 어류인 참종개, 왕종개, 부안종개, 미호종개, 좀수수치의 탐구 과정과 관련된 이야기를 정리했다.

6장에서는 낙동강에서 찾아낸 기름종개-왕종개 암컷 잡종집단의 신기한 잡종 생식 방법을 국제학회에 보고한 내용을 기록했으며, 공동연구를 통해 발표한 신종 동방종개, 북방종개, 기름종개, 줄종개, 얼룩새코미꾸리의 조사 내용 역시 기재했다.

더불어 분자생물 학적 연구로 우리 물고기의 분류 문제점을 검토하여 새로운 체계로 제시하고, 미꾸리과 어류의 분자유전학적 연구에 근거하여 분화연대를 추정한 논문의 내용을 요약했다. 아울러 지리적 분단분포와 종분화 이론을 적용하여 그들의 계통 관계를 정리했다.

7장에서는 우리나라의 담수어류가 처한 멸종위기의 현황과 그 원인을 알아보고, 4대강 사업으로 인한 어류의 다양성 손실과 문제점, 그리고 남아 있는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자연 습지와 갯벌 보존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마지막으로는 국외의 대형 댐 운영 사례와 복원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면서, 오염과 개발로 죽어가던 전주천을 쉬리가 살 수 있는 하천으로 재자연화시킨 사례를 소개하고 생태적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을 생각하였다.

저자는 독자들에게 우리나라 물고기의 자연사적 배경과 신비스러운 생태, 그리고 흥미로운 생활습성에 관한 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전하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다소 복잡해 보이는 연구결과들을 서술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독자들이 있을 수도 있다. 이 부분은 독자 여러분의 너그러운 양해를 구한다고 밝히고 있다.

한편 저자 김익수는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과학교육 석사를,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동물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전북대학교 생물학과에서 교수직을 역임했고, 현재는 전북대학교 명예교수다. 한국동물분류학회 회장과 한국어류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환경부 전국자연 환경조사 조사위원으로 활동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