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5월 12일 오후 3시 30분 세계보건기구(WHO)와 제1차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운영위원회(Executive Committee)를 영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국은 지난 2월 WHO 인력양성 허브로 단독 지정됐으며, 이후 세계보건기구와 총 4차례 준비회의를 통해 운영위원회를 출범하게 됐다.

이번 운영위원회에는 보건복지부와 세계보건기구, WHO 아카데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제백신연구소 등을 대표하는 인사들이 참여했다.

이번 EC에서 논의된 사항을 보면 첫 번째 안건으로 WHO 인력양성 허브 운영체계를 공식화했다.

운영위원회는 교육운영, 재원조달 및 협력체계 마련 등 허브 관련 주요 사항을 결정하는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보건복지부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단 이강호 단장과 세계보건기구 수석과학자 수미야(Dr. Soumya Swaminathan) 박사가 공동 위원장을 맡았다.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운영체계.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운영체계.

자문그룹은 정책자문그룹과 기술자문그룹으로 구분하여 설치하기로 했다.

정책자문그룹(SAG:Senior Advisory Group)은 교육 수혜국과 글로벌 NGO 등의 고위급 인사로 구성, 허브 운영 방향 제시 등 정책적 자문을 제공하며, 기술자문그룹(TAG:Technical Advisory Group)은 백신·바이오 생산공정 및 교육공학, 규제과학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다. 현재 세계보건기구와 위원 위촉을 논의 중이다.

또한 허브 운영을 위해 WHO와 보건복지부 실무자를 중심으로 워킹그룹도 분야별로 구성했다.

재원마련 및 협력체계 구축, 교육운영, 커리큘럼 개발 등 허브 운영을 위한 실무계획을 수립·이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두 번째 안건으로 2022년도 교육계획을 확정하고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올해 한국은 WHO 인력양성 허브로서 중·저소득국 백신·바이오 생산인력 370명과 국내인력 140명, 총 510명에 대해 총 3가지 교육과정을 진행한다.

한국은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유치를 위해 작년부터 글로벌 바이오 교육과정을 준비해 왔다.

이번 회의에서는 국제백신연구소(IVI) 주관으로 7월 18일부터 2주간 실시되는 ‘백신·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기본교육’의 교육생 신청현황 등 준비 상황에 대해 집중 점검했다.

‘백신·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기본교육’은 바이오 생산인력을 위한 입문 과정으로 감염병에 대한 기본교육, 백신 전임상 및 임상, 품질관리 교육 등이 진행되며, 국내기업의 백신 생산시설 견학도 이루어질 예정이다.

WHO 인력양성 허브 전담 교육훈련 기관으로 구상 중인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가 설립되기 전까지는 이론교육 및 생산시설 견학 등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진다.

교육은 아프리카, 아시아, 중남미 등 33개 중·저소득국 인력 110명 및 국내인력 4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현재 세계보건기구와 보건복지부가 함께 교육생 선발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번 논의를 시작으로 세계보건기구와 보건복지부는 허브 추진 로드맵을 마련하고, 교육프로그램 개발, 글로벌 협력체계 마련 등 허브 안착을 위한 기반을 갖추어나가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중·저소득국 백신 생산을 지원하고, 항체치료제 등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중·저소득국 접근성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전 세계 건강 불평등 해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보건복지부 이강호 글로백신허브화추진단장은 “한국의 ‘세계보건기구 인력양성 허브’ 지정은 우리나라가 국제사회 리더로서 전 세계 백신 불평등 해소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한국이 백신·바이오의약품의 국제적 거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단장은 또 “세계보건기구와 긴밀한 협력 및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인력양성 허브가 조기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