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동해가스전 활용 CCS 중규모 실증 인프라 구축사업 지자체 선정 공고'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매년 1,04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활용·저장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웠다.

이 중 640만톤은 이산화탄소 활용, 400만톤은 지중 저장을 통해 처리한다.

이를 위해 정부가 세운 계획은 천연가스 생산이 곧 종료되는 석유공사 동해가스전을 활용해 오는 2025년부터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을 개시한다는 것.

이 야심찬 계획의 첫 발을 산업통상자원부가 3일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CCS 중규모 실증 인프라 구축사업 지자체(포집원 포함) 선정 공고'를 발표하며 개시했다.

그간의 R&D를 통해 확보한 소규모 실증기술을 이젠 상용화가 가능한 중규모로 발전시키는 사업이다.

실제로 지난 2017년 포항해상 실증사업을 통해 세계에서 3번째로 소규모 해상 지중저장 주입 실증에 성공한 바 있다.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CCS 통합실증사업의 개념도.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CCS 통합실증사업의 개념도.

이번 사업기간은 2024~2030년까지 총 7년이며, 총사업비만도 무려 1조원(선정된 지자체 예산 포함 후 확정 예정)이다.

동해 CCS 실증은 울산지역 산업단지 수소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동해가스전 고갈 저류층에 저장하는 CCS 전주기 연계사업이다. 참고로 고갈 저류층에는 약 12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

산업부는 이번 CCS 중규모 실증 인프라 구축사업을 통해 최적의 수송‧주입요건 등 분야별 핵심 상용기술도 확보해 대규모 상용화를 위한 기술 자립화 기반도 마련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국내 자체 기술로 실증플랜트도 운영‧관리하면서 CCS 전분야의 기술자립화와 더불어 선진국 수준의 기술 역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어서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한편 CCS 중규모 실증 인프라 구축사업 참여 지자체(포집원 포함)는 포집된 CO2를 저장하기 위한 임시저장소, 동해가스전으로의 CO2 송출 시설, 기타 관련 부대시설(에너지원, 통신망 등) 등에 필요한 부지를 확보해야 한다.

또 최소 2.5만㎡의 부지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플랜트 특성상 부지 단절도 없어야 한다.

아울러 부지 정지공사 착수 이전에 건축 가능지역으로 용도를 확정해야 하며, 부지까지의 진입로 왕복 2차선 이상으로 제공돼야 한다. 통신망 2개 이상, 전력 인입선로 22.9kV 제공이라는 기본 요건도 전제돼야 한다.

포집원은 CO2 포집 및 압축‧액화‧정제 설비, 기타 관련 부대시설 구축에 필요한 부지 부담(부지 규모, 위치 등 표기)해야 하며, 지자체는 연 40만톤 이상의 CO2를 포집해 동해가스전에 공급할 수 있는 포집원을 선정해야 한다.

다만 2050년까지 연 40만톤 이상을 공급할 수 있는 포집원 1개 이상을 선정하되, 국비 총 지원 금액은 1개 포집원 비용에 대해서만 지원하게 된다.

최종 대상지 선정은 유치계획서 및 관련 제반 서류 일체를 제출한 지자체를 대상으로 선정평가위원회에서 현장실태조사와 발표평가를 통해 뽑게 된다.

평가결과 70점 이상 취득한 지자체 중 최고점수 또는 동점자 발생시 평가항목 중 유치계획(65점)의 최고점자로 최종 결정되며, 오는 10월11일~12일 결과를 발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