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학원 등 분야별 10개 대표기관 '협약'…"기후위기 파급효과 효과적 추적·평가"

기후위기 '적응(Adaptation)'이란 기후위기에 대한 취약성을 줄이고 기후위기로 인한 건강피해와 자연재해에 대한 적응역량과 회복력을 높이는 등 현재 나타나고 있거나 미래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위기의 파급효과와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유익한 기회로 촉진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지난 2015년 체결된 신기후체제 '파리협정' 이후 부쩍 강화된 개념으로 '감축(Mitigation)' 뿐 아니라 적응대책이 강화돼야 하며, 기후변화 영향에 대응하고 손실을 최소화 하는 기후탄력적 개발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추세다.

이런 가운데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김동진)은 기후위기 적응정보의 과학기반을 강화하고 국가의 기후위기 적응역량 향상을 위한 협력 확대를 위해 기상, 농업, 산림, 해양수산, 물관리 등 부문별 전문기관과 9월 6일 서면으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는 기상(국립기상과학원), 농업(국립농업과학원), 산림(국립산림과학원), 수산(국립수산과학원), 해양(국립해양조사원), 생태(국립생태원), 보건(한국보건사회연구원), 물관리(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 분야별 총 10개의 대표 기관이 참여한다.

기후위기적응정보 종합플랫폼의 구성(안).
기후위기적응정보 종합플랫폼의 구성(안).

참여기관들은 ‘기후위기 적응연구 협의체(이하 협의체)’를 통해 기후위기 적응정보의 공유 및 사회 쟁점 대응을 위한 상호 협력 분야 개발과 공동연구 등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국가의 적응력 향상 지원에 협력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협약사항은 △기후위기 적응연구 협의체의 운영, △적응정보 관련 연구정보 등 공유, △기후위기의 복합적인 영향성 규명을 위한 공동연구사업, △세미나, 학술회, 연찬회 등 행사 개최, △적응 관련 신규 쟁점 및 상호 협력분야 발굴 등이다.

이번 협약은 다양한 연구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던 적응관련 연구의 과학적 기반 구축을 위한 노력들을 하나로 모으고, 협약 참여 기관 간 깊이 있는 토의를 통해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추진하는 ‘기후위기 적응정보 종합플랫폼(이하 적응정보플랫폼)’ 구축을 위한 협력의 장을 구체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정부,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적응대책 수립 및 이행 점검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부문별로 산재한 적응정보의 분류기준을 체계화하고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적응정보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며, 협의체를 통하여 구체적인 협력사항들을 조율할 계획이다.

한편, 해외 선진국들은 기후위기 적응관련 종합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운영하며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기후위기의 영향성과 취약부문에 대한 정보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정보도구(소프트웨어 등)를 적응연구와 정책수립에 이용하고 있다.

예시로 유럽연합(EU)의 경우는 기후적응플랫폼(Climate ADAPT), 영국은 기후회복프로그램(UKCRP), 독일은 기후준비포털(KLiVO), 일본은 기후변화/태평양 적응정보플랫폼(A-PLAT/ AP-PLAT) 등을 운영하고 있다.

김동진 국립환경과학원장은 “국내 적응 전문기관들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부문별 적응 정보 공유 방안을 논의함으로써 사회 전 부문에 걸친 기후위기의 파급효과를 효과적으로 추적·평가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또 ”국립환경과학원의 실측 데이터베이스(DB) 및 인공지능(AI), 환경위성 등 첨단 인프라와 연구역량을 결집하여 과학기반의 적응연구와 효율적인 적응대책지원 체계를 마련하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