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청장 남성현)에서는 기후 위기 대응의 유일한 자연기반 해법인 산림생태복원 사업의 지속적 추진과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해 지난 2006년부터 추진해 온 사업의 성과 등을 모니터링(점검)한다고 밝혔다.

산림생태복원은 산림생태계의 건강성 및 생물다양성의 유지·증진을 목적으로 2006년부터 추진해 백두대간, 비무장지대(DMZ) 일원 등 훼손된 산림 293건 690ha를 복원했다.

특히, 2019년 산림복원 법제화 이후부터는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훼손된 난대 산림을 복원하는 섬숲 복원을 추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지역 산불피해지, 생활권 산림훼손지 등으로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참고로 산림생태복원 실적(ha)을 보면 지난 2006년 3ha → 2010년 84haha → 2015년 370ha → 2019년 546ha → 2021년 690ha 등이다.

김천 바람재 폐군사시설 복원 전과 후.
김천 바람재 폐군사시설 복원 전과 후.

산림청에서는 지난 2019년 산림복원 법제화 시 국제기준에 따라 모니터링(점검)을 의무화하도록 했으며, 이를 위해 모니터링(점검) 전문기관(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한국산지보전협회)을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그동안 주요 복원지에 대해 선택적으로 추진해 오다 2022년부터 복원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모든 복원지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다.

국제연합(UN CBD) 및 국제생태복원학회(SER)의 생태복원 원칙을 보면 생태복원 및 생물다양성 재도입시에는 반드시 지속적인 모니터링(점검)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모니터링(점검)은 산림생태복원목표 달성을 위해 복원지의 기반 환경, 생물다양성, 경관, 현장 여건 등을 조사하여 사업 전과 어떻게 변화했는지 비교․평가하고 미흡한 사항을 보완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모니터링(점검) 시 발견된 과거 잘못된 방법이나 기술 등이 다시 적용되지 않도록 하는 등 제도 및 정책 발전에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2020~2021년 실시한 모니터링(30건) 결과, 교란종 및 덩굴류 제거, 물주기, 밀도조절, 시설물 훼손 등 평균 3.6건의 미흡 사항이 발견돼 보완 조치했다.

아울러 모니터링 평가 방법의 개선 및 복원사업 유형 구분 방안 등의 정책 제안이 이루어져 개선 방안을 위한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산림청 이규명 산림생태복원과장은 “대부분의 사업은 준공이 되면 끝이 나지만, 복원사업은 준공 시점부터 시작되는 사업인 만큼 복원사업에 있어서는 모니터링(점검)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사업 및 정책을 개선해 산림생태복원이 한층 더 도약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