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분류체계는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 활동 목록을 설정하기 위해 국가가 정한 ‘친환경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2020년 유럽연합(EU)에서 주도해 그해 6월에 발표했으며, 2022년 7월 6일 천연가스와 원자력이 포함된 최종안이 유럽연합 의회를 통과했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표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표지.

녹색분류체계는 지구온난화 및 감염병 등의 환경적 충격에 대응해 경제 정책, 기업과 사회 문화, 의료 제도가 보다 탄력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기준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도입이 결정됐다.

다시 말해 증대되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앞으론 '친환경'이 아니면 투자하지도 개발·도입해서는 안된다는 방침을 세우겠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환경부가 주도해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인 K-택소노미(K-Taxonomy)를 2021년 말 제정했다. 개정을 위해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2023년부터 녹색채권 가이드라인에 녹색분류체계를 전면 적용할 예정이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는 ① 온실가스 감축, ② 기후변화 적응, ③ 물의 지속가능한 보전, ④ 자원순환, ⑤ 오염방지 및 관리, ⑥ 생물다양성 보전 등 6대 환경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녹색경제활동을 분류한 것으로, 녹색경제활동에 대한 명확한 원칙과 기준이 담겼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