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효과를 일으키는 6대 온실가스 중 이산화탄소(CO2)를 제외한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등을 말한다.

지구온난화는 대기 중의 온실가스(GHGs: Greenhouse Gases)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온실효과가 발생해 지구 표면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렇듯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대기 중의 가스 형태의 물질을 온실가스라고 하는데, 이산화탄소(CO2)와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등을 6대 온실기체라 한다.

이 중 이산화탄소(CO2)는 배출량이 77%로, 메탄(CH4) 14%, 아산화질소(N2O) 8% 등에 비해 배출량이 압도적으로 많아 1985년 국제연합환경계획(UNEP)과 세계기상기구(WMO)에 의해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공식 지목됐다.

이렇듯 이산화탄소(CO2)는 다른 온실기체에 비해 배출량 많긴 하지만 사실 ‘지구온난화지수’는 다른 온실기체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다.

‘지구온난화지수’는 이산화탄소가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다른 온실가스가 지구온난화에 기여하는 정도를 말하는 데, 지구온난화지수 수치를 이산화탄소 1로 봤을때 메탄은 21, 아산화질소는 310, 수소불화탄소는 140〜11,700, 과불화탄소는 6,500∼9,200, 육불화황은 23,900에 이른다.

이는 다른 온실기체보다 양이 월등히 많고, 산업화와 더불어 대기 중 농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는 이유로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되는 이산화탄소(CO2)의 저감 노력도 중요하지만 실상은 지구온난화지수가 높은 비이산화탄소(Non-CO2)의 감축노력도 상당히 중요하다는 얘기다.

1992년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온실기체의 인위적 방출을 규제하기 위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을 채택하고, 1997년 국가 간 이행 협약인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가 만들어진 것도 이산화탄소(CO2)와 비이산화탄소(Non-CO2)를 저감하려는 지구촌의 노력의 일환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지구온난화 기여율이 높은 이 같은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배출 저감기술 개발을 전략적으로 집중투자 하기 위해 지난 2013년부터 ‘비이산화탄소(Non-CO2)온실가스 저감기술개발사업단’을 발족해 운영해오고 있다.

사업단의 사업 목적은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효과적으로 감축함으로써 기후변화 완화에 기여함은 물론 수출사업화 등을 통한 국가 경쟁력 확보에도 기여하기 위해서인데, 오는 2021년 4월까지 927억원을 투입해 관련분야에 전략적이고 집중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하게 된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