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은 농업정책 분야에서 안전한 식품공급(51.0%)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품종류별로는 축산물, 유통경로별로는 인터넷 쇼핑과 노점상 판매 식품에 대해 가장 불안해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17일 발간한 농정포커스 '소비자 안심 식탁을 위한 정책과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에 따르면 식품 안전관리에서는 생산자, 중앙정부, 유통 및 판매업자의 역할을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한 반면, 이들 주체들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2년간 식품 관련 피해를 경험한 응답자는 11.8%였며, 가공식품, 외식순으로 피해를 경험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 도시민의 식생활 불만족 요인. 자료: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 농촌에 대한 2012년 국민의식 조사결과'
식품 피해 중에서 응답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신선하지 않거나 상한 제품을 구매하게 되는 경우(22.5%), 이물질 혼입(18.0%), 원산지 허위표시(14.0%) 순으로 조사됐다.

정부의 식품정책 문제점에 대해서는 식품안전 관련 사항 위반 시 처벌 미흡(43.5%), 식품안전 관련 법과 제도의 미흡(29.5) 및 식품안전관리 부처ㆍ기관의 분리(13.3%) 등의 순으로 개선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이에 따라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제고를 위해서는 식품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위험정보교류 확대, 소비자의 신뢰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와 관련해 농촌경제연구원 이계임 연구위원은 "식품안전관리를 강화하는 방향에서 생산단계부터 가공·유통·최종소비단계까지 통합된 안전관리가 필요하며, 생산·가공단계에서 농식품 위해요소를 방지하고 차단하는 사전예방관리로 전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위원은 또 "소비자의 신뢰 강화를 위해서는 소비자 소통 채널 확대, 농식품 인증ㆍ표시기준 합리화, 식품리콜 활성화, 농식품 이력추적기반 강화 등이 필요하다"며 "정책대상별로 맞춤형 식품정보를 제공하고 무엇보다 소비자 교육ㆍ홍보 강화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