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불산누출 사고가 발생한 지 1년이 지났습니다. 2012년 9월27일 발생한 사고로 5명이 사망하고 18명이 부상당하는 등 모두 23명의 인명 피해가 났습니다. 또 농작물 212ha와 가축 4,015두, 차량 1,954대도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 사고를 계기로 우리사회가 얼마나 화학물질안전사고로부터 취약한지, 산업계가 얼마나 안전불감증에 걸려있는지 잘 알게되었습니다. 때문에 이 사고 이후 정부는 유해화학물질 사고 안전관리 개선대책을 발표하고 산업계 역시 시설 개선을 비롯한 각종 화학사고 예방조치를 약속했습니다. 그러는 과정에서 상주와 청주에선 염산과 불산 누출 사고가 터녔고, 삼성전자 화성공장에서의 불산누출, 여수 대림산업 폭발 등 20여 개의 크고 작은 화학사고가 이어졌습니다. 산업단지와 화학물질 취급 공장이 인접한 곳에 거주하는 국민들의 불안이 가중된 것은 두말 할 나위 없었지요. 현대사회가 다양한 위험요소를 안고 살아갈 수밖에 없는 체계라는 사실, 인정합니다. 그러나 그건 기본적인 안전시스템이 마련돼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지요. 그런 의미에서 지난 상반기 통과된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 일명 '화평법'과 화학물질관리법 제개정은 화학물질 관리에 대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작은 소득이었습니다. 그런데 산업계는 기업의 과도한 비용부담 등 경제논리를 앞세워 이 '화평법' 무력화에 골몰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일부 정부 인사와 지자체까지 합세해 잉크도 마르지 않은 두 법의 개정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분명히 말하지만 지금처럼 후속 사고 발생이 내재된 상황이라면 '돈'은 제 아무리 천만금이라도 '목숨'에 비 할 수 없습니다. 구미 불산 누출 사고 1주년을 계기로 기업의 이익에 앞서 국민의 안전과 생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기본적인 사실, 돈보다 중요한 것은 '사람'이라는 진리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되길 바라마지 않습니다. ET 1호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