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전 1호기가 수명만료로 가동을 중지한 지 1년이 지났다.

11월 20일로 월성 1호기가 수명연장을 위한 점검을 받기 시작한 이래 꼬박 1년을 채운 것이다.

월성 1호기는 1982년부터 가동을 시작해 지난 2012년으로 30년 수명을 다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월성 1호기에 대해 지난 1년 동안 가동을 정지하고 점검을 하며 수명연장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 월성원전 1호기.
월성 1호기보다 먼저 수명연장 심사를 진행했던 고리 1호기의 경우, 가동정지후 재가동까지 6~7개월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오랫동안 진행되고 있는 셈이다.

월성 1호기는 국내 다른 핵발전소와 달리 캐나다에서 수입한 캔두(CANDU) 형 원자로다.

전 세계적으로 CANDU 형 원자로는 종주국 캐나다와 한국을 제외하고는 찾기 힘들며, 캐나다에서도 수명연장의 예가 많지 않고, 더 이상 신규로 건설되지 않는 모델이다.

이 때문에 월성1호기는 안전성 문제 외에도 ‘수명연장의 타당성’에 대한 문제가 끊이지 않고 제기돼 왔다.

이와 관련해 시민단체 에너지정의행동이 월성1호기 수명만료 1주년을 즈음해 성명을 냈다.

에너지정의행동은 "이미 한국수력원자력도 밝히고 있는 것처럼 월성 1호기는 수명을 연장한다 할지라도 고리 1호기에 비해서도 경제성이 떨어지는 핵발전소"라며 "향후 10년간 수명연장을 위해 또다시 막대한 금액이 추가돼야 함은 말할 것도 없고 인근 주민들의 불안감이나 사고 위험 역시 노후 핵발전소에서 더 높다는 것은 이제 상식에 해당하는 것"이라며 월성1호기의 수명연장 절차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에너지정의행동은 "노후한 핵발전소로 인한 위험성과 불안감을 그대로 안고 가는 것은 박근혜정부가 밝히는 ‘국민 행복’과는 거리가 먼 일"이라며 "월성 1호기를 비롯해 2035년까지 현재 가동 중인 핵발전소의 절반 이상이 수명을 다한다는 면에서 핵발전소 폐쇄를 위한 정책적·재정적 준비 또한 함께 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