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후 3년 지났지만 페놀 기준치 19배 검출…“추가 정밀조사 실시해야”

포스코 옥계마그네슘공장이 페놀 유출사고가 발생한지 3년 지난 현 시점에도 페놀 정화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는 지난 2013년 6월 옥계 마그네슘공장에서 페놀유출사고가 발생한 이후 현장에서 정화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현지조사 결과 포스코 오염현장에서 정화사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오염물질의 확산을 막는 차수벽 외곽지역에서 페놀이 토양은 기준치 대비 19배, 지하수는 최대 8,700배가 넘는 오염치가 나왔다.

지난 9월 9일(금) 강릉환경연합(대표 박창근 가톨릭관동대 교수), 더민주 환노위 간사인 한정애 의원과 강병원 의원, 토양정화팀과 합동으로 페놀정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포스코 옥계공장을 방문, 토양과 지하수 시료를 채취했다.

채취한 시료들을 서울대학교 NICEM에 시료채취 지역을 밝히지 않는 블라인드테스트로 분석을 의뢰했다.

서울대 NICEM 분석 결과, 차수벽 외곽지역에서 채취한 토양에서 페놀이 75㎎/㎏d이 검출되어 1지역 오염기준인 4 ㎎/㎏ 보다 무려 19배가 넘는 오염치가 나왔다.

다른 토양에서도 기준치 대비 11배, 14배가 넘는 오염치가 확인됐다.

또한 차수벽 외곽지역에서 채취한 지하수에서는 페놀이 45.5 ㎎/L가 검출됐는데, 이는 지하수법에서 규정한 기준치 0.005 ㎎/L 보다 무려 8,700배가 넘는 오염치가 나왔다.

한편 이날 조사팀이 시료를 채취할 때 포스코 관계자들도 동일한 지역에서 시료를 채취해 분석을 진행했다. 포스코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페놀은 검출되지 않거나 검출되더라도 기준치 이내이고 지하수의 경우 페놀이 전혀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오염토양 정화사업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포스코 관계자가 채취한 시료를 분석한 기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포스코 시료를 분석한 기관은 농어촌공사인데, 농어촌공사는 포스코 페놀유출사고 정화사업을 검증하는 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다.

▲ 위 그림은 토양 및 지하수 채취 지점 위치도. 표는 토양시료에서 페놀분석결과(위) 지하수시료에서 페놀 분석결과(아래).
즉 농어촌공사는 포스코로부터 각종 검증수수료를 받는 입장이고 정화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책임을 지는 기관이기에 객관적이고 공정한 오염분석을 할 수 없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게다가 포스코가 시료 분석을 제3의 공정한 기관에 맡기지 않고 정화검증을 담당하는 농어촌공사에 맡김에 따라 농어촌공사가 분석결과를 왜곡·조작했다는 의혹까지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상황이다.

이번 현장조사 결과에 대해서 가톨릭관동대 박창근 교수는 “포스코 옥계공장 페놀유출 사고는 단일지역 내 최대 페놀유출사고임에도 불구하고, 정부(환경부)와 지자체(강릉시)의 묵인 하에 포스코가 오염토양 정화사업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고 오히려 자료를 조작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더 큰 오염사고를 막기 위해 보다 객관적인 기관을 선정해 추가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정화계획서를 재작성하여 오염정화사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옥계 현장을 직접 방문한 한정애 의원은 “이와 같이 잘못된 토양정화 사업이 재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오염사고가 발생하면 오염유발 기업이 아닌 제3의 기관에서 토양오염 정밀조사보고서를 작성하고, 그 보고서에 근거하여 정화사업을 할 수 있게 하는 토양환경보전법의 개정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강원도 강릉시 소재 ㈜포스코 옥계 마그네슘 제련공장은 2012년 4월 가동을 시작했다.

2013년 6월 2일 주수천 교량공사과정에서 교각의 터파기 공사를 하는 중 다량의 페놀이 유출돼 공사장 인부가 동해해양경찰서에 신고함으로써 포스코 마그네슘 공장에서 오염물질이 유출되었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다.

강릉 포스포 페놀유출사건은 세계적으로 그 사례를 찾아 볼 수 없는 환경오염으로 보고되고 있다.

2013년 6월 27일 강원보건환경연구원은 현장시료를 채취하여 오염도 분석을 한 결과 페놀 2,307mg/kg(기준치 0.005, 포스코 20 주장), TPH 42,610 mg/kg(기준치 0.05, 포스코 2,000)이 검출됐다. 페놀의 경우 지하수수질 기준으로 약 46만배 오염이 되었고, TPH의 경우 85만배 오염이 됐다.

한편 포스코가 작성한 주민설명회 자료(마그네슘 제련공장 토양·지하수 정화계획, 2014.9.23.)에 따르면 토양 오염 면적과 부피는 각각 31,419㎡, 133,994㎥이다. 지하수 오염면적과 부피는 116,659㎡, 245,672㎥에 이른다.

포스코는 마그네슘 공장으로부터 유출된 오염물질 유출량을 15.7톤으로 추정하였지만, 강원도는 맹독성 발암물질 페놀 354톤이 유출되었다고 추정했다(세계일보 2013. 10. 21).

참고로 1991년 발생한 낙동강 페놀유출사건 때 낙동강으로 유출된 페놀량은 30톤에 이르고, 오염사고에 대해 당시 두산그룹 회장이 사임하고, 환경부장관 등 책임있는 고위공직자 7, 8명이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그러나 포스코 페놀유출사건과 관련해 어느 누구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고, 오염정화 현장에서 페놀오염과 관련된 자료를 조작하고 은폐하는 현실이다.

포스코는 토양정밀조사보고서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화계획서를 강릉시에 제출해 2014년 6월 17일부터 오염토양정화사업을 2년 동안 진행했다.

페놀오염사고가 발생한 후 1년 동안 포스코와 강릉시를 포함한 관계기관은 우왕좌왕했고, 그 동안 많은 오염물질들이 하천으로 바다로 유출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4년 6월 17일 포스코가 2년간 정화사업을 하겠다고 작성한 정화계획서를 강릉시에 제출했는데, 2016년 6월 17일 강릉시는 정화기간을 1년 연장하는 포스코의 변경계획서를 접수하고 승인했다.

관련법령에 따라 정화기간을 1년 연장하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강릉시가 오염토양 정화와 관련된 모든 공문을 비공개로 처리했다.

강릉시민들은 옥계 페놀사고에 대한 관심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강릉시가 비공개 행정을 한 이유로 ‘포스코의 이익’을 들었다.

강릉시는 강릉시민을 위한 행정이 아니라, 포스코의 대변인 역할을 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더민주 환노위 간사인 한정애 의원은 지난 9월 27일 국정감사에서 옥계 포스코 마그네슘 제련공장의 페놀오염이 심각하다고 지적했고, 이에 환경부는 10월 13일 공식적으로 옥계 포스코 페놀 오염현장에서 토양과 지하수 시료를 채취해서 분석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