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 유해생물 등의 위해요소로부터 안전하게 관리된 GAP인증 농산물 생산 농가수가 전년대비 4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남태헌)은 2016년말 현재 농산물우수관리(GAP) 인증 농가가 74,973 농가(인증면적 88,859ha)로 2015년도 53,583 농가(65,410ha)에 비해 21,390 농가가 늘어났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2015년도보다 40% 가 증가한 수치로, 2015년말 저농약 인증제가 폐지됨에 따라 안전농산물을 대표하는 GAP인증제가 그 대안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품목군별로는 사과, 배, 감귤 등 과실류가 28,580농가로 38.1%, 쌀 등 식량작물이 28,304농가로 37.8%, 채소류가 14,194 농가로 18.9%, 약용작물류가 3,316 농가로 4.4%, 버섯류 481농가 0.6%, 특용작물류 98농가 0.1%가 참여하고 있다.

농관원은 올해 농식품 시장 개방 확대에 따른 우리 농산물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소비자에게 안전한 먹거리 공급을 위한 다양한 GAP 활성화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농업인의 GAP인증 편의를 위해 인증 신청 제한 기간을 완화하고, 농가에서 작성하는 위해요소관리계획서를 간소화해 불편을 최소화 할 계획이다.

인증 신청기간을 생육기간의 2/3가 경과되지 않은 시기에 신청하던 것을 최초 수확 예정일 1개월 전으로 완화하여 보다 많은 농업인이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 위해요소관리계획서는 위해성 평가 및 중요관리점 결정 등 자기 기술형에서 선택식 체크형으로 간소화 했다.

이번 정책에서는 또 품목별 주산지를 중심으로 GAP인증 컨설팅을 강화하여 지역상품의 가치 제고와 함께 GAP확산 분위기도 조성키로 했다.

경북 성주참외, 충남 추부깻잎, 보성·하동·제주 녹차 등 품목별 특화된 지역에 대해 GAP 컨설팅(130개 단체, 5천명)을 통해 GAP선도마을 육성하고, 주산지 안전성 분석사업의 연계를 통해 농업인이 부담해야 하는 토양·용수 분석비용을 절감해 나갈 계획이다. 

대규모 집합교육에서 탈피하여 소그룹별 현장 중심의 찾아가는 GAP기본교육 상설 운영을 통해 농업인의 교육 기회도 확대한다.

농업인 교육은 농관원 지원·사무소별 연 2회 개설(118개소, 236회)하고 사이버교육 과정을 새로이 운영하여 교육기회를 보다 확대할 예정이다.

현장 교육을 위해서 GAP우수사례 경진대회 수상 농장, 스타팜 농장 등을 교육장으로 활용해 농업인과 GAP전문가의 접촉기회를 확대해 교육 집중도를 제고 계획인 것이다.

이번 정책에서는 또 TV홈쇼핑 입점, GAP전용 판매관 개설, 기획 판매전 지원 등 온·오프라인 홍보 추진으로 GAP인증품이 안정적으로 판매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농수산홈쇼핑 등 TV홈쇼핑 입점(5회), GAP전용 판매관의 연차적 확대, 제철 농산물 및 추석절 선물용품·제수용품의 특별기획 판매전 등을 개최할 계획이다.

GAP 경진대회의 국민참여 심사제 도입으로 소비자의 참여를 확대하고 TV, 언론사, 대중교통, 우수농장 현장체험 등 '안전을 생각한다면 값(GAP)어치 있는 농산물'에 대한 다양한 홍보를 추진할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생산단계 안전성 검사 확대로 이상품의 유통을 사전 차단하고 인증기관 부실인증을 방지하기 위해 집중감사제를 도입하는 등 안전농산물의 신뢰 구축을 위한 GAP인증 사후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로컬푸드, 학교급식 등 소비자 민감 분야의 생산단계 안전성 검사를 2,400건으로 확대(전년 대비 20% 증가)해 안전한 농산물이 유통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인증기관 중 비상근 심사원의 비중이 높은 기관, 인증이 급증한 기관, 지역 범위가 넓은 기관 등 부실 개연성 여부에 따라 집중감사를 통해 부실인증을 사전에 차단할 계획이다.

농관원 남태헌 원장은 “국민의 삶의 질이 향상될수록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수 밖에 없다”고 밝히면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개방화 시대에 우리 농산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GAP인증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안전한 농식품 소비의 선순환 체계가 마련될 수 있도록 GAP에 대한 보다 많은 참여와 관심을 농업인과 소비자에게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