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학적으로 중요하고 교육가치가 높은 지질명소를 보존·교육 및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가가 지정·관리하는 제도다.

지난 2012년 1월 29일 ‘자연공원법’이 개정·시행됨에 따라 근거가 마련됐다.

지질공원은 개별국가가 지정하는 국가지질공원과 유네스코(UNESCO) 인증 세계지질공원으로 구분되며, 세계지질공원은 현재 한국(제주 1)을 비롯해, 중국(29), 이탈리아(8), 스페인(8), 영국(6), 일본(6), 프랑스(4) 등 29개국 100여개소가 인증된 상태다.

지질공원은 세계유산(자연·문화), 생물권보전지역과 함께 유네스코 3대 프로그램중 하나이며, 행위제한이 가장 적고 지질·역사·문화·생태 등 다양한 유산과의 복합체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한 마디로 국가지질공원은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다른 제도와는 달리 보호와 활용을 조화시키는 제도라고 생각하면 쉽다.

아울러 지질공원은 지형의 특성상 매우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는 특징이 있다.

지난 2012년 12월 27일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지질공원으로 공식 인증된 울릉도·독도만 보더라도 면적 127.9 ㎢(육상 72.8 ㎢, 해상 55.1 ㎢)에 경북 울릉군 전 지역(1읍 2면 1출장소)을 포괄한다. 아울러 울릉도 19곳, 독도 4곳을 포함해 총 23개의 지질명소가 산재해 있다.

▲ 지난 2015년 12월 인증받은 한탄·임진강 국가지질공원의 교동가마소(위)와 비둘기낭 폭포(아래).
제주도 역시 면적 1,864.4㎢의 제주특별자치도와 부속도서 육지 전역이 포함되며, 만장굴, 성산일출봉 등 10곳의 지질명소가 있다.

우리나라는 풍부한 지질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나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어 지질자원 보호 및 활용에 미흡했다.

또한 2010년에는 제주도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추진하면서 국가관리시스템 부재로 국제기구의 인증에 어려움이 있었다.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되면 우리나라의 풍부한 지질유산에 대한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관리가 가능해 진다.

이를 바탕으로 국제적 수준의 생태관광자원화를 위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받도록 추진해 국가 브랜드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재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된 곳은 총 8개소로 △제주도- 면적 1,864.4㎢, 수월봉 등 지질명소 10개소 △ 울릉도·독도- 면적 127.9㎢, 봉래폭포 등 지질명소 23개소 △ 부산 - 면적 151.48㎢, 오륙도 등 지질명소 12개소 △ 강원평화지역 - 면적 2,067.07㎢, 해안분지 등 지질명소 21개소 △ 청송 - 면적 151.34㎢, 기암단애 등 지질명소 17개소 △ 무등산권 지질공원- 면적 246.31㎢, 무등산3봉 등 지질명소 23곳, △한탄·임진강- 포천시와 연천군 일대 493.31㎢, 재인폭포와 주상절리 등 지질명소 20곳 △강원고생대 국가지질공원 - ‘정선 화암동굴’ 등 지질명소 21곳 등이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