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동해안 지역의 대규모 발전 전력을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한 500kV HVDC 동해안(신한울)∼신가평 송전선로 건설사업 추진이 본격화 하고 있는 가운데 사업타당성과 안전성 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국전력은 신한울 원전 1,2호기와 강릉 안인 및 삼척 포스파워 석탄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해 2021년 12월까지 총 220km 길이의 500kV HVDC 송전선로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500㎸ HVDC 동해안(신한울)~신가평 송전선로 건설사업은 경북 울진의 신한울 원전에서 경기 가평의 신가평변환소까지 선로길이 220㎞, 철탑 약 440기에 달하는 한전 창사이래 최장 최대 고압직류전송 송전선로 건설사업이다.

당초 765㎸로 건설을 계획했으나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2014년 12월 지금의 500㎸ HVDC로 송전방식 변경을 검토했으며 올해 5월 변경 확정 및 신가평변환소 MOU 체결과 이번 1차 입지선정위원회를 계기로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했다.

송전선로가 지나가는 경과 대역은 크게 동부구간(울진, 봉화, 삼척, 영월, 태백, 정선, 평창)과 서부구간(횡성, 홍천, 양평, 가평)으로 예정돼 있다.

한전은 현재 동부구간 입지선정위원회를 운영 중이며, 오는 11월 5일 서부구간 입지선정위원회도 구성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사업 시작 전부터 사업타당성, 주민갈등, 전력망 안전성 등에 대한 여러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

▲ 신한울 원전부지 위치.
경기환경연합, 환경운동연합 강원협의회 등은 2일 논평을 통해 "그동안 동해안~수도권 HVDC(4GW 용량 2개 노선) 선로의 필요성 중 하나였던 신한울 원전 3, 4호기(용량 2.8GW) 건설이 8차전력수급계획에서 빠졌음에도 사업내용은 아무 변경이 없는 것은 사업 타당성 측면에서 문제"라며 "발전소 건설이 취소된 만큼 송전선로 계획이 최소한 축소 변경되는 것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기존 선로를 이용하기로 돼 있던 삼척포스파워, 강릉안인 화력발전소가 동해안~수도권 HVDC 선로에 포함된 까닭도 이해할 수 없다"며 "총 4GW인 삼척, 강릉 신규석탄 발전소가 이 선로를 꼭 이용해야 한다면, 신한울 3,4호기 취소 전에는 송전대책도 없이 건설허가부터 내준 문제가 드러난 셈"이라고 지적했다.

HVDC 송전선로의 기술과 안정성에 대한 문제도 지적했다.

이들은 "기존 765kV, 345kV 등 교류(AC) 초고압송전선로의 대안으로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는다며 초고압 직류(DC) 방식의 HVDC 선로가 추진되고 있지만 HVDC 선로 역시 75m 높이의 철탑들을 세워야 한다는 점에서 전혀 다른 방식이 아니"라며 "현재 대부분 교류 송전선로를 운영 중이고, 장거리 HVDC선로를 운영한 경험이 없는 현실에서 HVDC가 고장이 잦고, 교류망과 직류망을 섞어 사용할 경우 대정전 발생위험 증가 등 기술적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그러면서 "우리 사회는 밀양송전탑 사건으로 석탄과 원전 등 대규모 발전소를 지어 지역민들에게 피해를 주며 장거리 송전하는 전력생산 방식이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교훈을 얻었다"며 "원전과 석탄발전을 위한 대규모 송전을 위해 도입한 HVDC 사업은 국민이 부담하는 전기요금으로 기술안정성 검증안된 상태에서 한전을 위한 사업거리만 챙겨주는 꼴이 되고 있다"며 사업추진 중단과 재검토를 촉구했다.

한편 경북 울진에 건설되고 있는 신한울 원전 1·2호기는 2019년 10월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어 신한울 3호기와 4호기가 각각 2022년 12월과 2023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건설돼야 하나 정부의 ‘탈원전, 탈석탄, 신재생에너지 확대 확대’정책에 따라 지난해 5월부터 설계단계가 중단됐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