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올 봄 경기 이천시 호법면에 상수관로를 매설하는 모습.
우리나라의 전체 상수도 보급률은 94.1%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농어촌지역의 상수도 보급률은 55.9%에 머물러 아직도 급수가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및 수도사업자를 조사한 결과 2010년 말 기준으로 상수도 보급률은 94.1%로 전년(93.5%)에 비해 0.6%포인트 상승했다고 밝혔다.

상수도 보급률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에서 상수도를 보급 받는 인구의 비율을 뜻하는 것으로 지난 2003년 조사 때는 89.4%에 불과했다.

그러나 2004년 90.1%으로 처음 90%대로 올라서 2005년 90.7%, 2006년 91.3%, 2007년 92.1%, 2008년 92.7% 등으로 해마다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농어촌지역의 상수도 보급률은 55.9%로 전년 대비 4.9%포인트 상승하는데 그쳐 여전히 도시지역과 큰 격차를 보였다.

실제로 서울과 제주는 지난 2008년 이미 100%를 달성하는 등 7개 특별·광역시의 지방 상수도 보급률은 100(2009년 99.4%)%에 육박하고 있지만 농어촌지역 특히 면단위 지역은 여전히 50% 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오는 2020년까지 농어촌의 상수도 보급률을 78%까지 끌어올릴 계획이지만 다소 비관적인 것이 사실.

농어촌지역의 상수도 보급률을 향상시키려면 주민들이 마을 단위로 분산 거주하는 문제 외에 매년 반복되고 있는 지방상수도 재정 적자 등을 선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정부는 지방상수도 통합 위탁을 통한 효율적 수도사업 운영, 농어촌지역 상수도 보급을 위한 집중적 투자, 마을단위 소규모 급수시설에 대한 개량사업 지속 추진, 노후수도관에 대한 대대적 정비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한편 수도관이 낡아 가정에 도달하지 못한 채 중간에 새는 수돗물의 비율을 뜻하는 누수율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10.8%로 전년(11.4%)에 비해 0.6%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 10년 간 수도관 노후로 인해 토양 등으로 샌 수돗물은 84억t으로, 경제적 손실액은 5조8천억원에 달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오는 2014년까지 낡은 상수도관을 교체하는 지자체에 대해 전체 사업비의 50%까지 국고에서 지원하는 등 누수율을 낮추기 위한 정책을 다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