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40년 운영허가기간 종료로 가동중지…한수원 재가동 계획에 시민단체 반발

부산 기장군의 고리2호기가 1983년 4월 9일 상업운전을 시작한 지 40년만에 설계수명 만료로 가동을 중지했다. 그러나 원전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이 고리2호기 계속운전에 대한 의지를 지속적으로 밝히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9일 고리 2호기가 전날 밤 10시 운영허가 기간(40년)이 종료되면서 원자로 가동을 중지했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다만 “원전의 설계 수명은 운영허가 시 안전 평가를 위해 가정한 최소한의 기간일 뿐이지 시설의 실제 수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며, ‘계속 운전’을 위해 안전성 심사와 운영변경허가 심사, 설비 개선 등 일정을 최대한 당겨 2025년 6월께 고리 2호기를 재가동하겠다는 계획도 함께 밝혔다.

고리2호기는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위치해 있으며, 1977년 5월 26일 착공, 1983년 8월 10일 상업운전을 시작한 국내 두 번째 원자력발전소다.

고리2호기의 지난 40년간 누적 발전량은 약 1,955억kWh로, 부산시민 전체가 약 9.3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참고로 2021년 기준 부산시 연간 전력 구입량은 약 210억 kWh(한국전력 전력통계 월보)였다.

한수원은 지난달 30일 규제기관에 고리2호기 계속운전을 위한 운영변경허가를 신청했다.

앞서 지난해 4월에는 계속운전 안전성평가서를 제출했고, 같은 해 12월 계속운전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 대한 주민의견 수렴을 완료한 바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사장 황주호)이 지난 5일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안전한 고리2호기 계속운전 추진을 다짐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사진=한수원
한국수력원자력(사장 황주호)이 지난 5일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안전한 고리2호기 계속운전 추진을 다짐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사진=한수원

한수원은 심사 과정에서 최대한 신속하게 대응해 안전성 확보를 전제로 2025년 6월 재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수원 황주호 사장은 “계속운전은 국가 에너지 비용 절감과 동시에 탄소중립에 기여하며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실현하는 최선의 방법”이라며, “고리2호기 계속운전 사업이 원전 10기 계속운전의 첫 단추가 되므로 안전을 최우선으로 완벽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계속 운전'은 예상 수명에 도달한 원전의 안전성을 평가해 문제가 없을 경우 운전을 계속하는 것을 뜻하는 말로, 안전성 심사와 설비 개선 등에 통상적으로 3∼4년에 걸친 절차가 필요하다.

한수원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기조 아래 신청 기한(수명 만료 최소 2년~최대 5년 전)까지 계속 운전을 신청하지 않다가, 원전 생태계 복원을 기치로 내건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무리하게 계속운전의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이다.

부산고리2호기 수명연장·핵폐기장 반대 범시민운동본부, 탈핵부산시민연대,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등 시민단체들은 지난 8일 한국수력원자력 고리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고리2호기 영구정지를 촉구했다. 사진=부산에너지정의행동
부산고리2호기 수명연장·핵폐기장 반대 범시민운동본부, 탈핵부산시민연대,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등 시민단체들은 지난 8일 한국수력원자력 고리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고리2호기 영구정지를 촉구했다. 사진=부산에너지정의행동

당연히 주민들과 시민단체의 반발을 불러오고 있다.

부산고리2호기 수명연장·핵폐기장 반대 범시민운동본부, 탈핵부산시민연대,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탈핵경남시민행동 등 시민단체는 지난 8일 한국수력원자력 고리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리2호기 영구정지"를 촉구했다.

이들은 "40년 긴 세월 동안 사용했으면 많이 써 먹었다. 고리핵발전소 1호기 폐쇄의 감동을 기억한다. 이제 시민의 이름으로, 수명 연장 다한 고리 2호기 폐쇄를 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그러면서 "고리핵발전소는 반경 30km 안에 부산, 울산, 경남의 382만 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당시 주민 대피령이 내려진 30km 안 인구는 17만 명이었다. 그러나 우리는 그보다 무려 22배가 넘는 인구가 밀집해 있는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며, 핵발전은 기후위기의 대안도 아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