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댐 현지 학술회·기술답사…“탄소중립 목표달성·탄소국경세 극복 경쟁력 확보”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 RE100 등 새로운 형태의 ‘탄소중립 무역장벽’이 계속해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해소할 하나의 방안으로 ‘수상 태양광’이 주목을 받고 있다.

물 위에 설치하기 때문에 산림훼손이 없고, 수면의 냉각효과로 육상태양광보다 발전효율이 약 5% 정도 높은 재생에너지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2년 합천댐에 최초 수상 태양광 상용화 시설(0.5MW)을 설치했으며, 현재까지 3개댐 49MW 운영 중이다.

최초 상용화 모델 개발 이후 지금까지 환경 안전성 검증과 환경모니터링 등을 지속적으로 시행중이며, 수상태양광 설치 전·후 환경분석 결과 수질‧퇴적물, 생태계 변화 등은 없는 것으로 파악(KEI 등)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한국수자원공사(사장직무대행 정경윤)가 수상태양광 기업의 수출 지원을 위해 국내 대표적인 수상태양광 현장인 경남 합천댐 일원에서 4월 12일부터 14일까지 학술회(세미나) 및 기술답사(테크투어)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합천군을 비롯해 수상태양광 관련 기업(한화큐셀, 스코트라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먼저 학술회(세미나)는 ‘합천군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4월 12일 오후 2시부터 합천박물관 대강당에서 열린다.

합천댐(위, 41MW)과 충주댐(아래, 2.6MW) 수상태양광.
합천댐(위, 41MW)과 충주댐(아래, 2.6MW) 수상태양광.

이날 학술회에서는 합천댐 내 주요 재생에너지원인 수력발전과 수상태양광을 주제로 그간의 추진 경과와 계획, 기술개발 동향 등을 소개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한 토론회가 펼쳐진다.

이어서 4월 13일부터 이틀간 2회에 걸쳐 환경부 및 한국수자원공사 공동 주관으로 수상태양광 수출기업 지원을 위한 ‘합천댐 수상태양광 기술답사(테크투어)’가 진행된다.

이번 기술답사는 국내외 수상태양광 관계자 및 해외구매처(바이어)를 대상으로 합천댐 내에 설치되어 있는 수상태양광을 둘러보고 주민참여형 사업유형을 소개한다.

합천댐에 설치된 수상태양광은 재생(태양)에너지와 해양기술(조선+계류)이 결합된 융복합 발전시설로 태양광 발전시설을 물 위에 설치한 것이다.

합천댐 수상태양광은 2012년에 설치된 이후로 지금까지 10년 넘게 환경안전성을 평가받은 결과 수질‧퇴적물, 생태계 변화 등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댐 수면을 활용한 수상태양광은 한정적인 국내 재생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주민참여제도를 활용해 발전수익을 지역주민들과 공유하며 점차 설치지역이 확대되고 있다.

현재(2023년)개발 중인 수상태양광 현황. 6개소 176MW.
현재(2023년)개발 중인 수상태양광 현황. 6개소 176MW.

환경부는 앞으로 2030년까지 댐 수면 15곳에 0.5GW 규모의 수상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하고, 발전사업 규모를 1.1GW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환경부 박병언 수자원정책과장은 “환경부는 앞으로도 수상태양광을 철저한 환경안전성과 주민수용성의 확보를 전제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수상태양광이 국가 2030 탄소감축 목표달성과 탄소국경세 극복을 위한 경쟁력 확보 및 국내 연관 산업계 활성화를 통한 수출산업 진흥에 기여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