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월 ‘계절관리기간’으로 설정 집중관리…콘트롤타워 ‘국가녹조대응센터’ 신설

올여름 이른 무더위로 낙동강을 중심으로 녹조가 크게 창궐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환경부가 이전보다 크게 강화된 ‘녹조 종합대책’을 시행하겠다고 나섰다.

녹조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하절기(5~9월)를 ‘계절관리기간’으로 설정하고, 녹조가 중점 발생하거나 오염원이 다수 유입되는 지역을 중점관리지역으로 선정, 맞춤형 녹조 저감을 추진한다.

또 면을 자율주행하며 녹조가 발생한 물을 흡입 후 녹조만 필터링·제거하는 신 장비 ‘에코로봇’을 투입하고, 신속·효과적인 현장 대응을 위해 ‘국가녹조대응센터’를 신설해 콘트롤타워 기능을 맡긴다는 계획이다.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녹조 종합관리대책'을 최근 수립하고 이를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올해 녹조는 봄가뭄과 무더위로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5월 말부터 발생하고 있다.

이에 환경부는 ‘사전예방, 사후대응, 관리체계’ 3개 분야로 나눠 ‘비상대책’과 ‘중장기대책’을 동시에 추진한다.

낙동강 창녕 함안보(자료사진).
낙동강 창녕 함안보(자료사진).

분야별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사전예방’ 분야에서는 ‘야적퇴비 관리’를 비상대책으로 추진한다.

비가 오면 야적퇴비로부터 발생한 고농도 침출수가 하천으로 유입되어 오염과 녹조를 일으킨다.

이에 환경부는 6월 중으로 녹조가 주로 발생하는 낙동강 하천변의 야적퇴비를 대거 수거하고, 수거하지 못한 야적퇴비는 덮개를 덮어 오염원 유출을 차단한다.

이러한 비상대책에 더해, ‘중장기대책’으로 가축분뇨 처리방법을 다양화하고 처리 시설을 확충하는 등 가축분뇨 관리를 강화해 근본적인 오염원 저감도 동시에 추진한다.

참고로 낙동강 하천변 야적퇴비는 총 1,579개로, 이 중 625개(39.6%)가 부적정 보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후대응’ 분야에서는 ‘녹조제거시설 집중 투입’과 ‘취·정수 관리강화’를 비상대책으로 추진한다.

녹조 우심지역에 녹조제거장치 적기 운영(‘23.5~9월)해 집중 제거하고, 낙동강 집중 발생지 중심으로 녹조제거선박 20대를 추가 도입한다.

수면을 자율주행하며 녹조가 발생한 물을 흡입 후 녹조만 필터링·제거하는 에코로봇과 지류하천에 차단막을 설치해 녹조의 과성장을 유도한 후 녹조·오염원 동시 제거하는 수상퇴치밭 등 신 장비를 투입해 효율적 저감에 나선다.

아울러 기상정보, 녹조상황 등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댐, 하굿둑과 연계해 보 운영 수위를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녹조가 발생한 경우 하천 시설의 가용수량 등을 고려해 상류 댐 및 보 등을 연계한 일시방류(플러싱)도 실시한다.

종합대책 이행체계도.
종합대책 이행체계도.

취·정수장 관리도 강화한다.

녹조 유입차단을 위해 조류차단막 운영 및 선택 취수 등 취수장에서의 조류 유입 최소화 조치를 이행하고, 주기적 수질 모니터링(냄새물질, 클로로필-a)도 실시한다.

또 정수장의 응집·여과·침전, 소독(염소 등) 등 표준정수처리 강화 및 입상활성탄, 오존처리 등 고도정수처리 시설을 가동한다.

여기에 정수장별 녹조대응 준비실태 일제 점검을 실시(‘23.5~6월)하고, 녹조 상황 모의훈련(’23.6월 예정)을 통한 조류 대응능력도 향상한다.

먹는물 안전관리도 강하화는데, 조류가 다량 발생하는 지역에 위치한 물금 취수장 등을 대상으로 수심별 선택 취수가 가능한 취수시설을 설치해 식수원 안전을 확보한다.

또 수돗물 생산과정에서 조류독소 대응을 위한 정수처리기준을 현행 마이크로시스틴-LR 단일 항목에서 마이크로시스틴류 6종(LR, RR, YR, LA, LY, LF)으로 확대하고, 정량한계 목표값도 0.1 ㎍/L 이하에서 0.05 ㎍/L 이하로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관리체계’ 분야에서는 신속·효과적인 현장 대응을 위해 ‘국가녹조대응센터’를 신설해 녹조 대응 및 관리를 일원화 한다. 이렇게 될 경우 녹조통합관리 컨트롤타워 기능을 충분히 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보다 과학적이고 고도화된 녹조 예측을 위해 인공지능(AI)과 가상현실(디지털 트윈)을 도입하고 조류 경보제를 개선한다.

환경부 류연기 물환경정책관은 “올해에는 야적퇴비 제거 등 가축분뇨 관리를 중심으로 비상대책을 추진하여 단기간 내 효과적으로 녹조를 저감할 것”이라며, “이와 더불어 근본적인 녹조 저감을 위한 중장기대책도 동시에 추진해 녹조로부터 안전한 물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