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해사기구(IMO)는 1959년 설립된 UN산하 해양 안전, 보안 및 환경보호를 위한 전문기구, 우리나라는 1962년 가입했으며, 현재 회원국은 171개에 이르며, 사무국 직원수만 300여명에 달한다.

IMO는 해운·조선 관련 안전·해양환경보호, 해적퇴치 및 해상보안, 해운물류, 해상교통촉진 등과 관련된 국제규범을 제·개정하고 관련 기술협력사업을 관장하는 UN산하 전문기구로서, 171개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운·조선 분야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

흔히 세계 해운·조선 분야의 중심이라 불릴 만큼 해양 산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국제규범을 제·개정한다.

일례로, 1996년 IMO의 유조선에 대한 이중선체 안전규제 도입에 따라 유조선 건조선가가 상승하고, 대규모 유조선 신규 건조발주가 이어져 우리나라 조선업이 크게 도약하는 계기가 됐다.

최근에는 선박평형수 환경규제를 도입하여 일정규모 이상의 모든 선박에 한 대당 수억원에 달하는 평형수 처리설비 설치가 의무화되고, 우리나라 업체들이 평형수 처리설비 시장을 선점하면서 관련 산업이 조선기자재 산업의 블루오션으로 떠오른 바 있다.

국제해사기구(IMO) 본부.
국제해사기구(IMO) 본부.

2014년 국내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지난 1981년부터 2013년까지 IMO의 국제규범에 따른 우리나라 연관산업에 미친 경제적 영향은 약 153조원으로 추산할 만큼 해운·조선 산업계에 미치는 파급력이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도 북극·남극의 개발과 보존, 기후변화 대응, 해양 생물다양성 보전 등 주요 이슈에 대한 IMO의 역할은 더욱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지난 2016년부터는 모든 회원국들이 IMO의 안전·환경 관련 국제규범을 제대로 이행하는 지 여부에 대해 IMO로부터 의무적인 감사를 받도록 했다.

IMO는 또 선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지난 2011년부터 새로 건조되는 선박을 중심으로 에너지효율설계지수(EEDI) 등 온실가스 배출 규제를 추진해왔고, 2021년 6월에는 현재 운항 중인 선박들 까지도 온실가스 배출규제를 적용하기로 한 바 있다.

이에따라 내년부터는 국제 항해에 종사하는 총톤수 400톤 이상의 선박들 중 에너지효율지수(EEXI) 미충족선박들은 종전보다 탄소배출량을 약20% 정도 감축해야 한다.

한편 우리나라는 지난 2015년 유엔(UN) 산하 국제해사기구(IMO)의 최상위 이사국인 A그룹 이사국 8연속 진출에 성공한 바 있으며, 같은 해 7월에는 부산항만공사 임기택 사장이 국제해사기구 사무총장으로 당선(임기 4년)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