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100(사용 전력의 100% 재생에너지 사용)에 대한 이행 요구가 본격화하면서 우리나라 정부가 이에 대한 대안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이 사용 전력의 100%를 무탄소 에너지로 전환하는 CFE(Carbon Free Energy, 무탄소에너지), CF100이다.

여기서 '무탄소'는 '재생 가능'과 동의어이지만 '원자력'도 포함하고 있다.

정부는 우리나라는 많은 인구가 좁은 국토에 살고 있어 재생에너지 발전 여건이 불리한 등 RE100을 이행하려면 많은 제약이 존재하지만 원자력과 청정수소 등 다른 무탄소 에너를 사용한다면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같은 주장은 자칫 ‘안방용’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원전 중심 정책의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와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무탄소 에너지 활용을 확대하고 국제적으로 확산하는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의 장으로 'CFE(Carbon Free Energy) 포럼'을 구성하고 2013년 05월 17일 출범식을 가졌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와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무탄소 에너지 활용을 확대하고 국제적으로 확산하는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의 장으로 'CFE(Carbon Free Energy) 포럼'을 구성하고 2013년 05월 17일 출범식을 가졌다.

RE100은 2014년에 시작돼 현재 전 세계 385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는데 반해 CF100은 2018년에 시작돼 현재 전 세계 70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을 뿐이다.

RE100이 오래돼 더 많은 기업이 참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더 포괄적인 이니셔티브로, 기업이 재생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는 많은 옵션도 제공한다.

반면 CF100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에너지원이며 탄소 배출이 없지 않은 원자력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기업이 CF100에 참여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는 상태다.

여기에 CF100이 RE100보다 달성하기 더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RE100의 경우, 화석연료를 통해 나온 전력을 사용했어도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나 녹색프리미엄 등의 제도를 통해 재생에너지를 구매해 상쇄할 수 있다.

반면, CF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모든 전력을 무탄소 에너지를 통해 실시간으로 직접 공급받는 것이어서 더 적극적인 개념이라는 점에서 더 엄격한 기준이 제시돼 실제로는 65~70%만 무탄소 에너지를 소비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글로벌 기업을 위시로 RE100에 한 이행 요구가 본격화하면서 국내 납품업체의 피해가 커지고 발등에 불이 돼가면서 정부와 국내 주요 기업들이 절박함을 느끼고 이에 따른 돌파구로 CF100을 내세우고 있지만 국제사회에서 환영받지 못할 가능성도 농후하다.

그러나 CF100은 RE100을 대체하기보다 이 역시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또 하나의 수단이라는 점에서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탄소중립사회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재생가능에너지를 활성하려는 정부·기업차원의 노력이 지금보다 배가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