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5월 제안한 'DMZ세계평화공원' 조성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비무장지대(DMZ)와 접해 있는 경기도와 강원도의 여러 지자체는 세계평화공원 유치에 뛰어들어 경쟁도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28일 경기도가 통일부와 강원도에 ‘DMZ 세계평화공원’지역추진단을 구성해 지역 간 이견해소와 국제적 공감대를 얻기 위해 공동 노력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경기도의 평화공원 조성의지를 보여주는 또 다른 전략일 수 있지만 방법과 내용적 측면에선 바람직해 보입니다. 주지하다 시피 DMZ는 서해안의 임진강 하구에서 동해안의 강원도 고성에 이르는 총길이 248㎞의 군사지역입니다.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각각 2㎞를 지정해 4㎞의 공간을 두고 군대의 주둔이나 무기의 배치를 금지하도록 한 구역이지요. DMZ는 분단된 남과 북을 상징하는 곳이기도 하지만 사람이 발길이 드문 까닭에 두루미와 삵 등 13종의 희귀동식물을 포함해 약 180여 종의 생명체가 평화롭게 살고 있는 '생태 보고'이기도 합니다. 때문에 DMZ는 오래전부터 평화를 갈망하는 사람들의 관심으로 여러 활용방안이 모색되기도 했던 곳이지요. 실제로 유일한 분단국가인 남북한을 가로막고 있는 DMZ 안에 평화공원을 조성하는 것은 대내외적으로 큰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남북한 간에 신뢰가 구축돼 평화공원 건립이 추진, DMZ 전 지역에 100만 개 이상 묻혀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지뢰가 제거된다면 그것만으로도 휴전선이 뚫리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겁니다. DMZ가 명실공히 '평화벨트'가 되는 셈이지요. 문제는 평화공원의 개발과 조성 방식입니다. 생태와 환경이 우선되는 개발이 이뤄져야 하지만 자칫 과열돼 DMZ접경지역 지자체가 우후죽순 엇비슷한 공원 조성에 나선다면 안 하니만 못하는 꼴이 되고 말기 때문입니다. 올해 초 한 환경단체가 정전 60년을 맞아 DMZ의 전체면적을 조사해 본 결과 정전협정 체결 당시보다  면적이 43%나 감소했다는 발표를 한 적이 있습니다. DMZ 정전협정 당시 992㎢이던 면적이 2013년 570㎢로 대폭 축소됐고, 정전협정상 4km인 남·북 철책선 역시 지속적으로 좁혀져, 가까운 곳은 700m 밖에 안되는 곳도 있다는 것입니다. DMZ평화공원 조성으로 남북한이 평화적으로 공존할 수 있다는 신호를 전 세계에 보내는 것도 좋지만, 인간의 욕심으로 동식물의 지상낙원이자 특별한 자연자원이 순식간에 망가질 수 있다는 사실, 명심해야 합니다. ET 1호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