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의 전국 확산이 기정사실화 하고 있습니다. 지난 16일 전북 고창군 신림면에서 최초 발생한 AI가 26일 충남 부여까지 확산된 데 이어 27일엔 수도권 턱밑인 천안과 충북 진천에서도 의심축 신고가 접수되고 있습니다. 이미 경기 시화호의 철새 분변에서도 AI 바이러스(H5N8)가 검출돼 경기지역의 닭ㆍ오리 농장이 바짝 긴장하고 있지만 불청객의 내습을 막아내기엔 아무래도 역부족한 모습입니다. AI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당국의 노력도 연일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관계 공무원들은 벌써 열흘 넘게 밤낮을 마다하고 방역과 예찰 활동에 나서고 있으며, 때문에 심신은 지칠대로 지친 상태입니다. 농식품부는 AI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 현재 충남북과 경기 등 일부지역에 내려진 '일시 이동중지 명령'을 전국으로 확대하는 최후의 수단까지 검토하고 있습니다. 2천만명이 이상이 이동하는 설 연휴 기간이 AI의 확산 여부를 판가름하는 중대 고비가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가운데 이번에 발생한 AI가 가창오리 등 철새가 주범이 아닐 것이라는 주장이 국내 안팎에서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이는 철새를 AI의 오염원으로 지목하고 그에 따른 방역ㆍ차단 대책을 펼쳐온 정부 입장과 배치되는 것이어서 특히 주목받고 있습니다. 인천 송도에 사무실을 둔 동아시아·대양주 이동조류 협력기구(EAAFP)는 지난 24일 ‘철새, 조류독감의 원인이 아닌 피해자’라는 제목의 자료를 내고 “전라지역에서 보고된 H5N8과 같은 고병원성 AI는 일반적으로 오리농장같이 매우 좁은 공간의 비자연·친화적 환경에서 자라는 가금류에서 찾아볼 수 있는 질병이며 지금까지 야생 조류에서 발생됐다는 보고는 없다”며 “H5N8이 철새 무리로부터 시작됐을 것이라는 주장들은 입증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국내 단체인 환경운동연합이 지난 22일 성명을 통해 제기한 “석달 전인 11월 초에 이미 우리나라에 들어온 가창오리가 12월 말쯤 AI를 퍼뜨렸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주장과 일맥상통합니다. 환경연합은 당시 “정부가 제시한 근거와 논리만으로는 AI가 철새에 의해 유발된 것이라 보기 어렵고, 따라서 이들에 대한 감시를 주요 대책으로 삼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며 방역ㆍ차단 정책의 방향 전환을 주문한 바 있습니다. 아닌게 아니라 철새가 AI바이러스에 감염됐다면 떼로 무리지어 다니는 철새들의 특징상 지금쯤 거의 전멸을 했어야 맞지 않나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됩니다. 뉘라서 이번 AI사태를 빨리 끝내고 싶지 않겠습니까만은 혹여 다른 목적을 위해 이 문제로 시간을 끌어야만 하는 '반생명적 무리'들의 불온한 의도가 개입된 것이라면…. 절망스럽게도 빠른 해결은 난망해 보입니다. ET 1호

저작권자 © 에코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